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피 색깔 검사 해야…" 김영웅에 박병호까지… 투수의 악몽이 돼가는 '대구원정길'

by

[스포츠조선 정현석 기자]대구 원정길은 그동안 타 팀 거포에게 즐거운 여정이었다.

라이온즈파크 펜스가 길지 않은데다 좌우중간이 직선형 구조라 잠실이라면 펜스 앞에서 잡힐 타구가 훌쩍 담장을 넘는 짜릿함을 맛 볼 수 있다. 특히 잠실을 홈으로 쓰는 두산 타자들은 대구만 오면 신바람 나는 홈런쇼를 펼치기도 했다.

그동안 상대적으로 홈 팀 삼성 타자들은 '라팍 특수'를 크게 누리지 못했다.

구성상 거포형 타자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과거 스카우트 방향이 빠른 스몰 야구를 펼치는 야수들에 맞춰져 있던 탓. 몇 안되게 뽑은 거포 유망주들은 그마저 성장하지 못했다.

왼손 선호 속에 특히 오른손 거포가 부족했다.

2019년 김동엽을 트레이드로 영입했지만 2020년 20홈런 이후 두자리 수 홈런을 기록하지 못했다.

러프와 피렐라 등 외인 타자들이 그나마 밸런스를 맞췄지만 새로 영입한 맥키넌은 홈런을 펑펑 날리는 유형의 타자는 아니다. 그래서 준비했다. 시즌 중 박병호 영입 승부수다.

오재일을 보내고 받은 '국민거포'. 성공적인 일주일이었다. 5경기에서 무려 3개의 홈런. 모두 라이온즈파크에서 날렸다. 결승타만 2차례다. 삼성 유니폼을 입은 뒤 5경기 18타수7안타(0.389) 8타점. 안타보다 타점이 더 많다. 그것도 결정적인 순간 터진다. 덕분에 삼성은 4연패 후 4연승으로 반등하며 상위권을 지킬 수 있었다. 사자 타선에 굴러들어온 복덩이다.

대구에서 만난 키움 전 동료들이 "파란 유니폼이 안어울린다"고 했지만, 푸른 유니폼을 입자마자 펄펄 날고 있다. 중계진이 "몸에 푸른 피가 흐르는지 검사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농담을 할 정도다.

김동엽과 함께 '미완의 거포'였던 이성규도 제대로 포텐이 터졌다.

55경기를 치른 시점에 9홈런, 25타점으로 2020년(10홈런, 30타점)을 넘어 커리어하이 시즌이 확실시 되고 있다.

이재현 김재혁 등 젊은 우타 1군 거포 유망주들과 퓨처스리그 홈런 1위 이창용 같은 미래의 우타 거포들도 대기 중이다. 좌타라인에서는 '신거포' 김영웅(13홈런) 구자욱(9홈런)이 힘의 중심을 잡고 있다.

뒤늦게 라이온즈파크에 적합한 파워형 인재풀이 갖춰지고 있는 셈.

그 덕분에 홈구장 만성 홈런적자에서 벗어나고 있다.

3일 현재 삼성은 라이온즈파크 30경기에서 41홈런을 날렸다. 피홈런은 36개로 +5개를 기록중이다. 최근 5경기에서 3홈런을 몰아친 박병호 가세 효과를 무시할 수 없다.

지난해는 라팍에서 64경기 동안 63홈런을 맞는 동안, 53홈런을 치는 데 그쳤다. 올시즌은 절반도 치르기도 전에 벌써 40홈런을 넘겼다. 산술적으로 역대 최다인 90홈런 가까이 칠 수 있는 페이스다.

참고로 삼성은 정규시즌 2위로 돌풍을 일으켰던 2021년 이후 단 한번도 라팍 홈런 적자에서 벗어난 적이 없다. 라팍 홈런 적자를 안고 가을야구도 진출한 적도 없다.

거꾸로 말하면 안방에서의 홈런 흑자는 곧 가을야구 진출을 상징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박병호 영입 속 상승세를 타고 있는 올시즌 행보가 궁금해지는 이유다.

정현석 기자 hschung@sportschosun.com



◇삼성의 라이온즈파크 홈런 손익

=2016년=65홈런=97피홈런=-32=

=2017년=73홈런=116피홈런=-43=

=2018년=82홈런=96피홈런=-14=

=2019년=72홈런=71피홈런=+1=

=2020년=79홈런=93피홈런=-14=

=2021년=82홈런=70피홈런=+12=

=2022년=60홈런=79피홈런=-19=

=2023년=53홈런=63피홈런=-10=

=2024년=41홈런=36피홈런=+5=

<3일 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