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크루트 조사 결과 직장인 2명 중 1명, '조용한 퇴사' 상태

by

'주어진 일만 처리하고, 승진에 욕심은 없다. 언젠가는 떠날 회사이기에…'

퇴사는 하지 않지만 최소한의 업무만 처리하면서 회사에 별다른 기여를 하려는 의지가 없는 '조용한 퇴사'가 시대의 트렌드로 자리잡은 가운데, 이런 직장인들이 2명 중 1명꼴인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HR테크기업 인크루트에 따르면 직장인 109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51.7%가 현재 '조용한 퇴사' 상태라고 답했다. 연차별로는 8∼10년차(57.4%) 응답률이 가장 높았고, 이어 5∼7년차(56.0%), 17∼19년차(54.7%) 순이었다.

'조용한 퇴사'라고 답한 이들에게 이유를 묻자 현재 회사의 연봉과 복지 등에 불만족(32.6%)이 가장 많았고, 회사에서 일하는 것 자체에 열의가 없어서(29.8%)와 이직 준비 중(20.5%)이라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한편 동료가 '조용한 퇴사' 중인 것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 65.8%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실제 퇴사할 때 유형으로는 아무도 모르게 이직과 사업 등을 준비하다 퇴사하는 '계획적인 퇴사형'(56.8%)이 가장 많았다. 친한 동료에게만 얘기하다 퇴사하는 '소곤소곤 퇴사형'(27.6%)이 뒤를 이었고, 평소처럼 있다가 갑자기 충동적으로 퇴사하는 '충동적인 퇴사형'(11.0%), 평소 퇴사하고 싶음을 여기저기 얘기하다 퇴사하는 '시끄러운 퇴사형'(3.6%)도 있었다.

최근 Z세대를 중심으로 해고와 퇴사 과정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리는 '시끄러운 퇴사'가 유행인 것에 대해서는 응답자 44.3%가 '기업의 이름을 미공개하면 괜찮다'고 답했다. '상관없다'는 응답도 31.4%에 달했다. 기업명 공개와 상관없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응답자는 24.2%로 집계됐다.

남정석 기자 bluesky@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