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우리은행 직원 614억 횡령' 금감원 상시감시 체계도 못 막았다

by

우리은행 직원의 600억원대 횡령 사건을 놓고 금융감독원이 검사 시스템뿐만 아니라 상시 감시 체계에서도 문제점을 노출한 것으로 파악됐다.
감사원이 금감원에 대한 예비 조사를 마치고 이달 중 본감사에 착수할 예정이라 부실 논란이 일고 있는 금감원의 검사시스템 전반을 파헤칠 것으로 예상된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우리은행 직원이 614억원을 횡령했던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우리은행에 대해 총 11차례 종합 및 부문 검사를 하고 상시 감시시스템까지 가동했지만 사고 징후를 전혀 감지하지 못했다.
우선 이번 우리은행 직원 횡령 사고를 계기로 금감원의 검사 관행부터 도마 위에 올랐다.
금감원은 해당 금융사의 전부를 뜯어보는 종합검사 등을 했음에도 우리은행 직원의 횡령 사건에 대한 존재 여부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금감원의 검사가 주요 이슈에 대한 질책 사항을 적발하는 데 중점을 두는 관행이 작용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검사를 나갈 때는 사전에 검사의 범위를 구체적으로 정해서 나가기 때문에 당시에 왜 못 봤냐고 문제를 제기하는 것에 대해서는 다양한 판단이 필요하다"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금감원 검사를 받았던 은행권 관계자는 "금감원의 검사가 큰 거 하나만 잡으려 하거나 건수만 채우려는 관행이 일부 있다"면서 "그러다 보니 이번 우리은행 직원 횡령 건처럼 세세한 부분까지 들여다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금감원의 검사를 제외하더라도 금감원의 가장 중요한 역할인 금융사에 대한 상시 감시 체계도 전혀 작동하지 않았다.
정은보 현 금감원장을 포함해 역대 원장들은 금감원 본연의 기능인 상시 감시 체계를 강화해 금융 사고를 막겠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우리은행 등의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손실 사태에 이어 이번 우리은행 직원의 횡령 건도 제때 막지 못했다.
정 원장은 지난 2일 금감원 책임론에 대해 "어떤 경우라도 책임이 있다면 책임을 져야한다"면서 "어떻게 내부 통제가 운영되는 상황인지 정확히 평가해서 거기에 따라 어떤 개선을 하는지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감독기관인 금감원뿐만 아니라 10여년간 600억원대 횡령 사건을 전혀 알아차리지 못한 우리은행 수뇌부에도 큰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많다.
우리은행과 같은 시중은행은 대규모 자체 감사실을 운영하는데 이런 거액이 사라진 것을 전혀 인지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원덕 우리은행장이 우리은행의 직원 횡령 시기와 겹치는 2017년 12월부터 2020년 2월까지 경영기획그룹장을 지내면서 내부회계관리자였던 점도 논란거리다.
더구나 우리은행을 포함한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농협은행 등 시중은행과 대구은행, 부산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까지 모두 금감원 고위직 출신이 감사직을 맡고 있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금감원이 검사 및 상시 감시 체계를 총동원하고도 우리은행의 부실을 사전에 잡아내지 못한데다 금감원 고위직 출신이 포진한 은행의 감사 체계로도 이번 사고를 걸러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감원 출신들이 은행으로 가서 내부 통제가 강화됐다고 하는데 이번 우리은행 횡령 사고를 보면 과연 그럴까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한편, 감사원은 금감원에 대한 예비조사를 끝내고 이달 중 본감사에 착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은행 직원 횡령 사건을 계기로 금감원의 검사시스템에 문제점이 노출된 만큼 감사원은 본감사에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 관계자는 "감사원이 예비 조사를 마치고 이달 본감사에 착수할 예정이라 관련 준비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president21@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