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세대별 주의해야할 여성 질환…성조숙증·자궁경부암·골다공증 관리는?

by

매년 3월 8일은 '세계 여성의 날'이다. 여성의 권리 향상을 위해 1977년 UN이 공식 지정한 이래 우리나라에서는 2018년 법정기념일로 공식 지정했다.

여성의 날을 맞아 세대별 주의해야할 여성질환에 대해 인천힘찬종합병원 부인과 정다운 과장의 도움말로 정리했다.

▶소아·청소년 '성조숙증' 의심되면 조기 진단 및 치료 중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성조숙증으로 진료를 받은 소아·청소년은 2010년 2만8251명에서 2020년 13만6334명으로, 11년만에 약 5배 급증했다.

성조숙증의 원인은 80~90%가 특발성이나 가족력과 환경호르몬이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춘기 시기의 경우엔 소아기의 체지방량과 상관관계가 확인됐다.

체질량지수가 높은 소아일수록 이른 나이에 유방 발달이 시작되며 이차성징뿐만 아니라 초경도 더 빠르다는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소아비만은 비만이 가진 합병증뿐 아니라 사춘기 시기를 앞당기게 되고, 성장발달에도 영향을 미친다.

성조숙증 여아는 초경이 빨라져 이로 인해 성장판이 일찍 닫혀 성장 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만 8세 이전에 유방 멍울이 만져지거나, 음모가 발달한다면 성조숙증을 의심하고 빠르게 병원을 찾아가 검사 받아야 한다. 성조숙증으로 진단된다면 성호르몬 분비를 제한하는 주사치료를 통해 성발달을 억제할 수 있다. 치료와 함께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을 통한 적정체중을 유지하고, 일회용 용기 사용을 자제해 환경호르몬 노출을 최소화하는 등 생활 속 관리도 병행해야 한다.

▶청년층 2030 '자궁경부암' 급증…남녀 모두 백신 접종해야

자궁경부암은 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여성 생식기 암으로, 젊은 층에서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자궁경부암 환자는 2016년 5만7164명에서 2020년 6만1892명으로 약 5년 새 8%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20~30대 환자는 1만4572명에서 1만7806명으로 약 22% 늘었다.

자궁경부암은 정기적인 검진으로 조기발견을 할 수 있다. 다만 자각할 만한 초기증상이 없어 정기적인 검진이 중요하다. 만 20~70세 여성이라면 1년 간격으로 세포 검사를 권고하며 2년 간격으로 국가건강검진으로 무료 검사가 가능한 만큼 검진 대상이라면 미루지 말고 반드시 받아야 한다.

자궁경부암의 주요 원인은 HPV(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이다. 현재까지 밝혀진 HPV는 200여 종에 달한다. 이 중 40여 종이 성접촉에 의해 발생하며, 16·18·32·33형 등이 고위험군 바이러스에 속한다.

자궁경부암은 발병 원인이 명확해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암이다. 가다실 9가백신은 HPV 6, 11, 16, 18, 31, 33, 45, 52, 58번을, 가다실 4가백신은 HPV 6, 11, 16, 18번, 서바릭스 2가백신은 HPV 16, 18번을 예방할 수 있다. 가다실의 국내 접종 권장 대상은 여성 만 9~45세, 남성 만 9~26세다. HPV는 성접촉에 의해 전파되므로 남성도 백신을 맞는 것이 좋다. 남성의 경우 HPV이 생식기 사마귀, 구강암, 항문암 등을 일으킬 수 있어 대한감염학회에서도 남성의 HPV 백신 접종을 권고하고 있다.

▶건강한 노년 보내려면 중년 이후부터 '골다공증' 평생 관리

여성이라면 누구도 피해갈 수 없는 것이 있다. 바로 폐경이다. 나이가 들면 난소가 노화돼 여성호르몬이 감소하고 배란이 서서히 멈추는 폐경을 맞이하게 된다. 대체로 폐경이행기는 평균 46세에 시작해 대략 4~5년 정도의 기간이 걸린다. 갱년기 증상은 주로 폐경이행기와 폐경 후에 주로 나타난다. 이 시기에는 골다공증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골다공증은 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골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태를 말한다. 심할 경우 기침을 하거나 넘어지는 등 작은 충격에도 골절될 수 있다. 따라서 중년 이후의 삶을 건강하게 영위하기 위해서는 골다공증 직전인 골감소증 단계부터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여성의 경우 골밀도 감소가 가속화되는 폐경이 시작되기 전에 미리 골밀도 검사를 받고, 골감소증 단계부터 호르몬 요법 등의 치료를 통해 골다공증을 예방할 것을 권장한다. 아울러 뼈 생성을 돕는 비타민D·칼슘 섭취, 적정 체중 유지, 골절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근력 운동 등 평생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