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2019경정, '트로이카'에 주목하라

by

트로이카라는 어원은 러시아에서 나온 말로 '세 필의 말이 끄는 썰매'를 뜻한다. 또한 어떤 분야에서 특출한 기량을 보이는 세 명의 사람에게도 트로이카라는 말을 사용한다.

2019년 경정에서도 확실한 트로이카 삼인방이 나타났다. 바로 김종민(2기 A1·43)과 심상철(7기 A1·38), 조성인(12기 A1·32)이다. 후반기 10회 차를 남긴 시점에서 꾸준한 성적으로 시즌 경정을 이끌어나가는 선수들이다.

먼저 세 명 중 선배 기수인 김종민은 17일까지 29승을 기록하며 다승 3위를 달리고 있다. 현 경정의 살아 있는 역사라고 할 수 있는 선수이다. 2004년 스포츠서울배 우승을 시작으로 총 16회 대상경주 최다 우승기록을 보유 중이고, 신인 첫 해부터 매년 두 자리 승수를 기록하며 통산 449승으로 개인 최다승 기록도 갖고 있다. 여기에 시즌 다승왕 타이틀 2회(2010년 40승, 2012년 35승)로 경정의 산 역사라 할 수 있겠다.

다만 아쉬운 점은 예전과 같은 주도적인 스타트 승부를 자주 볼 수 없다는 것과 대상경주를 앞두고 실격 내지는 F(사전 출발위반)로 인해 2015년부터는 대상경주에서 얼굴을 볼 수 없었다. 하지만 올 시즌 36회 2일차(9월 26일) 16경주 스포츠경향배 우승을 하며 다시 한번 재기를 꿈꾸고 있다.

다음은 현 경정 최강자로 손꼽히는 심상철이다. 2008년 7기로 입문한 심상철은 신인시절부터 1∼6기 대선배들과의 실전에서도 자기의 경주를 펼쳐나가며 13승을 기록해 무서운 신인으로 인정을 받았다. 3년 차인 2010년 스포츠칸배 우승을 시작으로 현재 대상경주 11회를 기록하고 있다. 2016년 41승 2017년 45승으로 어선규(2014~2015)와 함께 연속 다승왕 타이틀 기록도 가지고 있다.

또한 17일까지 40승을 기록하며, 개인 시즌 최다승 기록 경신 초읽기에 들어갔고 서화모(1기 2005년), 우진수(1기 2006년)가 기록한 49승을 깰 수 있을지도 초미의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심상철은 많은 경정 전문가들이 "경정을 위해 태어났다"고 할 정도로 단점을 찾아보기 힘든 스타일이다. 앞으로도 큰 이변이 발생하지 않는 한 경정을 이끌어갈 에이스라 할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12기를 대표하는 조성인이 있다. 조성인은 신인 첫해인 2013년에 5승으로 세 명 중 가장 저조한 루키 시즌 성적을 기록했다. 신인답지 않은 스타트 감각은 보여주었지만 패기가 지나친나머지 무모하고 공격적인 1턴 공략으로 인해 아쉬운 경주도 상당수 있었다. 그 이후 본인의 장·단점을 매년 수정, 보완해 나가며 서서히 경정에 눈을 뜨기 시작해 2016년 18승, 2018년 19승을 수확했다. 올 시즌에도 32승으로 개인 한 시즌 최다승 기록을 경신 중에 있다.

조성인의 생애 첫 대상경주 우승 트로피는 본인도 꼭 갖고 싶었다는 쿠리하라배 특별경정(2018)이었다. 올 시즌 보여주고 있는 스타트 감각과 신인시절과는 한 차원 업그레이드 된 경기력이라면 12월에 펼쳐질 그랑프리 대상경주도 기대해 볼 수도 있겠다.

경정고수 이서범 경기 분석위원은 "세 선수 모두 올 시즌 기복 없는 경기력으로 경주를 풀어나가는 모습을 봐서는 경정 강자로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선수"라며 "시즌 29승으로 심상철 이후 무서운 신예로 각광받는 박원규(14기 A1·27) 나 2018년 다승왕(44승) 타이틀을 획득한 김응선(11기 A1·35)이 최근 주춤한 모습이고 유석현(12기 A1·34)도 강력한 스타트와 탁월한 1턴 전개를 구사하는 선수다. 이들도 언제든지 반등의 기회를 잡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만큼 남은 시즌 관심 있게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원만 기자 wma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