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주요 은행들이 블록체인을 활용한 금융 서비스 개발에 한창인 가운데, 대출 관련 서류 비대면 제출·개인정보주권 강화 본인인증 서비스가 곧 개시될 예정이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고객이 지점을 방문하지 않아도 대출 관련 서류를 제출할 수 있는 서비스를 다음달 중에 선보일 예정이다. 현재 필요한 정보를 자동수집하는 스크래핑(Scraping) 기술을 통해 확보할 수 있는 자료는 정부 부처나 공기업 자료로 한정돼 사기업의 자료가 필요한 대출은 완전 비대면으로 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신한은행은 블록체인 기술로 개별 단체나 기업의 증빙서류를 받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 기존 스크래핑으로 가능한 정보 외에 다른 서류들도 비대면으로 제출할 수 있게 했다. 또한 신한은행은 생체인증이나 간편 비밀번호를 적용한 인증수단에 블록체인을 도입해 한번 로그인으로 신한금융그룹 각 계열사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합 인증 서비스도 마련 중이다.
하나은행은 하반기 중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학생증 겸용 체크카드를 발급한다. 우선 고려대부터 도입하고 다른 대학으로도 확대·적용할 예정이다. 기존에는 발급 대상자의 학적 정보를 수기로 받고 대학 측의 검증도 필요해 분실 시 재발급에 3주 가량 걸렸는데, 대학 측과 학적 정보를 블록체인으로 공유해 정보 검증과 발급 기간을 3일로 획기적으로 단축했다.
하나은행은 이와 별도로 우리은행과 함께 자기주권신원 방식의 새로운 신분증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자기주권신원은 개인정보 주권 개념에서 출발한 탈집중화 본인인증 기술이다. 기존에는 기관이 개인의 정보를 모두 보유하다가 제공했다면 탈집중화 본인인증은 컨소시엄이 만든 전자지갑에 본인의 계좌번호 등을 발급은행의 인증을 거쳐 보유하다가 누군가가 요청할 때 본인인증 절차를 거쳐 계좌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때 정보를 받는 기관은 블록체인을 통해 제공된 정보의 진정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SK텔레콤, LG유플러스, SK플래닛, 코스콤, 코인플러그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11월 시범서비스 시행을 목표로 하고 있고, 우리은행은 이 방식의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하반기 중 특정 업무에 시범 적용한다.
또한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은 일본의 SBI금융그룹과 블록체인업체인 리플랩스의 합작법인인 SBI 리플 아시아에 참여해 블록체인을 활용한 해외 송금 서비스의 기술 개발을 마쳤다. 블록체인을 활용해 은행 간 송금거래 내역을 확인하고 신뢰도도 확보하는 방식으로, 현재 상용화를 위해 참여은행 간 환거래 약정 체결을 검토 중이다.
한편 KB금융그룹은 지난 1월 LG그룹과 업무협약(MOU)을 맺고 블록체인, 인공지능(AI) 등을 기반으로 한 공동사업을 추진 중이다. 양측은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인프라를 설계하고 컨소시엄형 사업 등에 이를 활용하기로 했다. 현재 LG CNS는 LG사이언스파크 내 식당에서 카드나 현금이 아닌 토큰으로 먼저 결제하고 사후에 정산하는 커뮤니티화폐 서비스를 시행 중인데, 국민은행이 사후 정산을 담당한다. KB금융과 LG는 연내에 공동 태스크포스(TF)를 구성, 신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개발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또한 유통, 엔터테인먼트 등 다른 업종과도 컨소시엄을 만들어 서비스 영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