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의 10채 중 4채 가량의 전세값이 2년 전보다 떨어져 역전세난 우려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정보서비스 직방은 국토교통부 아파트 실거래가격을 분석한 결과 2018년 기준 전세보증금이 2년 전보다 하락한 아파트는 전국 평균 38.6%로 집계됐다고 18일 밝혔다. 전셋값이 계약 시점인 2년 전의 가격보다 내려가면 만기 때 전세금을 제대로 돌려받지 못하는 역전세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
2년 전보다 전세값이 낮아진 곳은 권역별로 보면 지방이 51.3%, 수도권은 29.7%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까지는 2년 전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되는 아파트 비중이 전국 10% 미만, 수도권 5% 미만, 지방 20% 미만이었지만, 2017년부터 빠르게 증가했다.
분기별로 보면 지방은 2017년 1분기, 수도권은 같은 해 3분기부터 2년 전 대비 전셋값 하락 아파트의 비중 증가 폭이 커졌다.
2016년까지는 2년 전 대비 전셋값 하락 아파트 비중이 보합세 내지 1% 미만의 증가 폭을 보였지만, 2017년부터 수도권과 지방 모두 분기당 평균 4% 이상 증가율을 기록했다.
전세금이 2년 전보다 10% 미만 하락한 아파트 비중은 수도권의 경우 2017년 63.1%에서 2018년 64.2%로 1.1% 하락했다. 같은 기간 지방은 보증금이 10% 미만 하락한 비중이 50.5%에서 45.7%로 수도권보다 4배 이상 큰 4.8% 떨어졌다. 반면 10% 이상 하락한 비중은 49.4%에서 54.3%로 상승했다.
직방 측은 "아파트 공급물량 증가와 기존 전세세입자가 분양시장으로 유입되면서 재계약에 나서지 않는 등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가 전세값 하락의 원인이 되고 있다"며 "전세가격 하락 사례가 계속 늘어나는 만큼 임차인 보호 차원에서 시장 모니터링과 보증금 미반환 위험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