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맞벌이 가구'와 '외벌이 가구' 보험료 지출 규모가 비슷한 까닭은?

by

'맞벌이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765만원, '외벌이 가구'는 529만원으로 차이가 적지 않지만, 보험료 지출 규모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화생명은 자사 30∼40대 가입자 약 180만명의 정보를 분석해보니 이같이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한화생명에 따르면, 맞벌이 가구는 월 소득의 3.65%(27만9225원)를, 외벌이 가구는 4.82%(25만4978원)를 보험료로 지출했다. 맞벌이와 외벌이의 보험료 지출 규모가 비슷한 셈인데, "외벌이 가구가 보험의 필요성을 더 느낀 결과로 보인다"는 것이 한화생명의 분석이다. 맞벌이 가정일수록 소득 상실에 대한 대비와 은퇴 후 삶에 대한 고민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보험 가입현황을 보면 주 소득자가 한 명(주로 남편)에게 집중돼 있는 외벌이 가정이 그 필요성을 더 느끼는 것으로 해석된다는 것.

소득 하위 그룹(맞벌이 연 7000만원 이하, 외벌이 연 4000만원 이하)은 외벌이 가정이 더 많은 보험료를 납입했다. 중위 그룹(맞벌이 8000만∼1억1000만원, 외벌이 5000만∼1억원)도 마찬가지였다. 상위 그룹만 맞벌이의 보험료 납입액이 더 많았다. 보험계약대출(약관대출)과 신용대출을 써 본 경험은 소득 하위 그룹에서 외벌이가, 소득 상위 그룹은 맞벌이가 더 많았다. 전반적으로 소득이 높을수록 보험계약대출과 신용대출의 활용 경험은 줄어든 반면, 부동산 관련 대출 활용 경험은 소득이 높을수록 늘었다.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