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고분양가에 따른 공실 우려로 LH단지내 상가 열기 주춤해질듯"

by

한동안 인기를 끌었던 LH단지내 상가의 열기가 주춤해질 전망이다.

하반기 상가 분양시장은 고분양가에 따른 공실 우려와 더불어 최저임금 인상 및 고정비용 증가, 대출 제한 등의 제약 요인으로 비교적 위축된 분위기를 보일 전망이다.

27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LH단지내 상가의 평균 낙찰가율은 146%로 집계됐다.

이는 2015년(212%) 정점을 찍은 이후 3년 연속 하락세를 보인고 있는 것이다.

비교적 낮은 가격으로 공급된다는 이점으로 한동안 LH단지내 상가 입찰에 많은 경쟁자들이 몰리며 낙찰가격이 상승했고 최근 내수경기 위축, 대출규제 등 투자환경이 어려워지자 그 열기가 점차 사그라지기 시작한 것으로 보여진다.

올해 상반기에는 총 102개 상가가 공급됐다. 마곡, 김포, 남양주 등 수도권에서만 79개 상가가 공급되며 비교적 높은 비중을 나타냈다. 지방은 부산, 울산, 강원 등에서 전체 물량의 23%가 분양에 나섰다.

유형별로는 복합형 상가가 39개로 가장 많았고 근린상가 35개, 단지내상가 26개, 테마상가 2개 순으로 공급됐다. 복합형 상가는 오피스텔, 지식산업센터를 상부층에 둔 상가들로, 마곡·김포 등지에서 분양하며 물량이 증가한 것으로 보여진다.

전국 상가 분양 점포 수로는 5472개 점포가 공급됐다. 이는 전년 동기(6762개 점포) 대비 19% 가량 적은 물량이다. 대규모 상가도 비교적 적었다. 2017년 17개였던 대규모 상가는 올해 11개 공급에 그쳤다.

올 상반기 공급된 상가의 평균 분양가는 3.3㎡ 기준 3097만원으로 지난 2011년 통계수집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보다 10% 가량 높은 수준이다. 올들어 서울 마곡, 남양주 다산, 하남 미사 등 3.3㎡당 4000만원 이상의 수준에서 상가 분양이 진행되며 평균 분양가를 끌어올린 것으로 보여진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3.3㎡당 3259만원, 지방은 3.3㎡당 2540만원 수준에서 공급됐다. 특히 경기에서 공급된 상가는 3.3㎡당 3114만원으로 지난해(2584만원)인 것에 비해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이런 가운데 LH단지내 상가는 군포송정, 시흥배곧, 하남미사, 화성동탄 등 경기권 위주로 총 10개 단지에서 94개 점포(특별공급, 최초 입찰 기준)가 입찰에 나섰다. 총 94개 점포 중 70개 점포 만이 낙찰돼 비교적 낮은 낙찰률(74%)을 나타냈다. 4월에 공급된 아산배방 주상복합2BL(총 38개 점포)에서 20개 점포가 대량 유찰된 영향이다. 총 세대수(1530가구) 대비 공급 점포 수가 많아 입찰 경쟁이 비교적 낮았던 것으로 보여진다.

상반기 낙찰된 70개 점포의 평균 낙찰가율은 146%로 3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평균 낙찰가격 또한 3.3㎡당 2707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 가량 낮았다. 낙찰 경쟁이 가장 높았던 단지로는 화성동탄A44(227%), 하남미사A24(174%), 화성동탄A48(155%) 등의 순이었다.

부동산 업계는 나날이 오르는 상가 분양가에 신규 분양 상가의 공실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상가 투자에 대한 심리적 위축이 클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3.3㎡당 4000만원 수준에서 공급된 위례신도시 상가의 경우 입주 이후 3년 가량이 지났음에도 높은 임대료 등의 이유로 상권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한 채 공실이 속출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다산, 미사 등 일부 택지지구에서는 3.3㎡당 5000만원 수준에서 상가 공급이 진행되는 경우가 있어 '제2의 위례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부동산114 김민영 책임연구원은 "일정 기간 임대료를 받지 않는 렌트프리(Rent-free) 등 임차인 모집을 위한 마케팅 전략이 동반되고 있어 당장 신규 분양상가의 공실이 도드라져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고 임대료가 얼마나 오르느냐가 관건"이라며 "안정적으로 상권이 형성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적절한 수준의 임대료 수준이 책정되어야 하고 추후 임대료 인상폭에 따라 상권의 발전도 좌우될 가능성이 클 것"이라고 설명했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