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2014년 '말의 해', 서울의 마지명 찾아가 볼까?

by

오래전부터 말은 짐을 옮기거나 이동의 수단으로 사용되어 우리 삶속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동물이었다. 우리 삶 곳곳에 말과 함께했던 흔적들이 남아있다. 역삼동과 역촌동. 구파발은 파발마와 관련된 곳이며. 말죽거리도 이괄의 난을 피해 피난길에 오르던 인조 임금이 말위에서 죽을 얻어먹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로 유명세를 탄 서울 양재역 일대의 말죽거리는 서울 도성으로 들어가는 사람들에게 마지막 주막이었다. 많은 여행자들이 이 일대에서 여장을 풀고 먼 길을 걸어온 말에게 죽을 끓여 먹였다는 데서 유래했다. 또한 1624년 '이괄의 난'때 인조 임금 일행이 남도지방으로 피난하면서 허기와 갈증에 지쳐 이 일대에서 급히 쑤어온 팥죽을 말 위에서 마시고 부랴부랴 과천으로 떠났다고 설도 있다.

지금은 '맛집 골목'으로 유명한 종로구의 피맛골도 말과 관련된 지명이다. 조선시대 서민들이 종로를 지나는 고관들의 말을 피해 다니던 길이라는 뜻의 피마에서 유래했다.

서울 성동구에 위치한 마장동은 조선 초기부터 말을 기르던 양마장이 있었던 데서 유래했다. 양마장은 전국으로 소식이나 명령 등을 보내는 '파발마'를 기르고 관리하는 곳으로 이 일대는 근세까지만 해도 넓은 풀밭이 있었다. 말들은 주로 제주도에서 한양으로 올라왔는데 암놈은 지금의 광진구 자양동으로 보내졌고 수놈은 마장동의 말 목장에서 길렀다고 한다.

인근 뚝섬 일대역시 동교, 전교 등으로 불리며 말과 관련된 여러 업무가 행해지기도 했다. 즉 말을 사육하는 것 외에도 기마병들의 훈련장으로 쓰였고, 임금이 가끔씩 사냥을 즐기던 사냥터이기도 했다.

2009년 4월 20일 화양동으로 이름을 바꾼 모진동은 조선시대 이 일대에 양마장이 있었다. 방목된 말이 실족해 건국대학교 정문 근처의 수렁에 빠져 죽으면 이곳 여인들이 수렁 위에 널빤지를 띄워 놓고 들어가 말을 건져내어 그 고기를 나누어 먹었다. 인근 주민들이 이 동네 여인들을 보고 '모진 여인'이라 부르고, 모진 여인들이 사는 마을이라 하여 '모진동'으로 부르게 됐다. 나성률 기자 nasy@sportschosun.com



◇말죽거리



한국 전쟁 영웅마 '아침해', 어린이 연극으로 부활!



한국전쟁 당시 미 해병대 수송마로 이름을 알린 '아침해'의 감동적인 이야기가 어린이 연극으로 재탄생한다.

극단 '모시는 사람들'은 전쟁 속에 피어난 '아침해'와 7살 순이의 우정을 그린 연극 '내꺼야'를 오는 10일부터 11일까지 매일 2회(오후 1시, 4시) 과천 시민회관 소극장에서 선보인다. 극장 로비에서는 과천문화원과 함께 1950~1970년대 생활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전도 함께 열린다.

'내꺼야'는 '아침해'에 얽힌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 '아침해'는 1950년대 서울 신설동 경마장에서 활동하던 경주마였다. 연극은 전쟁이라는 배경 속에서 인간과 동물의 우정, 동물의 인간을 향한 이타심을 보여준다.

연극 '내꺼야'의 최대 매력은 어린이들에게 낯선 '한국전쟁' 이야기를 '아침해'라는 말을 통해 할머니 어렸을 적 이야기 들려주듯 쉽고 재미있게 전달한다는 점이다.

극단 '모시는사람들' 대표 김정숙 작가는 "'내꺼야'는 배우들의 연기에 사진, 영상, 50년대 동요 등 다양한 요소를 접목시켜 어린이들이 한국전쟁을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며 "전쟁을 겪은 세대와 정전 후 세대를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하는 연극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침해 동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