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두산 김진욱 감독, 포크볼과 부상 직접 관계 있을까

by

"포크볼 보다 직구가 부상 위험이 가장 높다고 본다."

투수 출신 김진욱 두산 감독(52)은 포크볼에 대한 부정적인 선입견에 좀 다른 의견을 갖고 있다.

대개 포크볼을 많이 던지면 부상이 올 수 있다는 속설이 퍼져 있다. 또 투수가 포크볼 같은 변화구를 많이 던지면 구속이 떨어질 위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김 감독은 포크볼을 던지면 부상이 온다는 주장을 반박했다. 직구와 다른 변화구 보다 포크볼의 부상 위험성이 더 높다고 보는 것은 잘못됐다는 것이다. 투수의 팔꿈치나 어깨 부상은 구종 보다는 투수의 당시 몸상태와 관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포크볼은 손가락 사이에 공을 끼워서 던진다. 따라서 다른 구종 보다 던질 때 팔꿈치와 어깨에 더 무리가 갈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김 감독은 부상 위험성 하나만 놓고 볼때 포크볼 보다 더 강하게 던져야 하는 빠른 직구를 뿌릴 때 다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김 감독은 "투수들의 부상은 몸은 아직 90% 정도 인데 마음이 앞서 100%를 던지려고 하다가 무리해서 아프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또 포크볼 등 변화구 비율을 높이면 구속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라고 했다. 하지만 그건 단기간에 나타는 현상이라고 했다. 직구 구속이 150㎞에 육박했던 투수가 구종을 다양하게 하기 위해 포크볼 같은 변화구 비율을 높이면 직구 구속이 145㎞까지 떨어지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했다. 이때 투수들은 다시 구속이 올라가지 않을까 걱정을 한다. 하지만 김 감독은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 몸은 150㎞를 던졌을 때를 기억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다시 구속을 과거 최대치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고 했다.

두산에는 포크볼 투수가 많다. 선발 이용찬 노경은 김선우 등이 포크볼로 재미를 보고 있다. 두산의 '삼성 킬러' 이용찬의 경우 포크볼 비율이 한 경기 평균 30%를 넘는다. 일부에선 이렇게 포크볼 구사 비율이 높을 경우 부상 위험이 높다고 걱정하는 목소리가 있다. 하지만 김 감독은 "이용찬과 포크볼은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했다. 이용찬도 포크볼을 던지지만 몸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고 했다. 포크볼을 둘러싼 찬반 주장은 좀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노주환 기자 nogoo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