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포츠조선 전영지 기자]'대한민국 장애인 10명 중 3.5명은 운동한다.'
|
|
|
주로 이용하는 운동 장소로'체육시설'을 이용한다는 응답은 16.6%, '집안'에서 운동한다는 응답은 12.3%, '야외/등산로/공원 등 근처 야외'를 이용한다는 응답은 49.3%를 차지했다.
|
|
|
|
|
운동 경험자들의 운동 참여 동기는 '자발적으로 필요하다고 느껴서'라는 응답이 62.0%로 가장 많았다. '가족/친척의 권유'(19.0%), '매체 광고 보고 흥미가 생겨서'(8.3%) 등의 순이었다.
문체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생활밀착형 체육시설인 '반다비 체육센터'를 확충하고 '장애인 스포츠강좌이용권' 수혜 대상과 가맹시설을 확대하는 등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정책을 계속 강화할 계획이다. 반다비 체육센터는 새해 15개소 신규 건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장애인체력인증센터 운영지원(전국 17개소), 체육시설 접근성 낙후지역 대상 '장애인 스포츠버스' 운영(70개소), 학교 체육시설의 장애인 이용 개방 지원(16개소) 등을 통해 시설을 확충해나갈 계획이다. 장애인 스포츠강좌이용권은 2024년 189억원에서 2025년 239억원으로 예산을 확대, 2024년 2만명에서 2025년 2만 5900명이 수혜를 받도록 하고 가맹시설 수도 2024년 6982개소에서 2025년 8000개소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또 고령자 친화적인 특화 종목(파크골프·낚시·당구 등) 개발 및 프로그램 보급, 장애인체육 지정스포츠클럽 신규지정(전국 12개소),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 배치(2024년 852명→2025년 1000명),장애·비장애 학생 어울림 통합체육 지원 확대(2024년 98개소, 9500명 → 2025년 170개소, 1만8000명) 등의 정책을 지속적으로 펼쳐나갈 예정이다.
전영지 기자 sky4us@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