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최만식 기자] 한국 배드민턴이 최근 열린 '2023년 세계개인배드민턴선수권'에서 깜짝 놀랄 성적을 달성했다. 금메달 3개(여자단식, 남자-혼합복식), 동메달 1개(여자복식)로 이 대회 출전 사상 최고 성적을 거두고 29일 금의환향했다. 2010년대 초반까지 얻었던 '올림픽-아시안게임 효자 종목'의 명성을 회복할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공교롭게도 김학균 대표팀 감독(52)이 작년 말 새로 지휘봉을 잡은 이후 나타난 '괄목상대'다.
김 감독은 "준비된 결과"라고 말한다. 이번 '쾌거'의 주역들은 갑자기 등장한 '혜성'이 아니다. 5∼10여년간 태극마크를 달고 검증받은 자원들이다. 그들의 숨겨진 장점과 성장 페이스를 최대한 끌어내는 게 감독-코치의 몫이었다. 김 감독은 대표팀 코치는 물론, 주니어대표팀 감독을 오랜 기간 지낸 터라 현 국가대표의 어린 시절 장·단점을 누구보다 잘 알았다. 주니어대표팀을 이끌면서 습관이 된 까닭에 분석·정리, 문서 작업과 단계적 프로그램 작성에 능한 김 감독은 성인대표팀에서도 그대로 적용해 맞춤형 훈련을 일일이 계획했다.
|
이런 가운데 세계랭킹 1위 안세영(21·삼성생명)은 선수로서 반짝 뜨는 해가 됐다. 이번 세계선수권 결승 상대였던 카롤리나 마린(30·세계 6위·스페인)을 비롯해 천위페이(25·세계 3위·중국), 타이쯔잉(29·세계 4위·대만), 야마구치 아카네(26·세계 2위·일본) 등 경쟁자들은 서서히 내려가는 단계다. 레전드 방수현(51)이 1996년 애틀랜타올림픽 금메달을 따는 등 꽃을 피웠을 때가 20대 초·중반이었다.
|
남자복식에서도 치열한 내부 경쟁 효과를 보고 있다. 이번 세계선수권 정상에 오른 서승재(26)-강민혁(24·이상 삼성생명)은 최솔규(28·요넥스)-김원호(24·삼성생명·세계 15위)와 경쟁하는 과정에서 세계랭킹을 10계단 이상 끌어올려 4위까지 자리했다. 남자복식이 세계 5위 안에 든 것은 이용대 은퇴 이후 8년 만에 처음이다. 특히 서승재는 채유정(28·인천국제공항)과의 혼합복식서도 우승, 2관왕에 오르며 한동안 침체기였던 남자복식을 살려내고 있다. 이용대 은퇴 이후 변변한 후계자가 없어 한동안 '찬밥' 신세였던 것이 오히려 동기부여가 됐다. 서승재는 "밑바닥에서 다시 채우고 올라왔다"고 했고, 한동성 코치는 "여자선수들에 비해 남자선수들이 부진하다는 주변 평가에 자극받았다"고 말했다.
최만식 기자 cms@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