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의도=스포츠조선 이원만 기자]스포츠선진국으로 거듭나기 위한 방안에 대한 논의가 국회에서 활발히 개최됐다. 19년 전, 학교 수업을 듣기 위해 태릉 선수촌을 나갔다가 국가대표 자격을 박탈 당했던 장희진의 사례를 기념하고, 이틀 근거로 학생 선수들의 학습권과 대학입시제도의 개선을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국회교육희망포럼과 스포츠개혁포럼이 주최하고, 학교체육진흥회가 주관한 '장희진 국가대표 선수 파동 19주년 기념 국회행사'가 10일 오후 3시 국회의원회관 제2 세미나실에서 개최됐다. 이 행사를 주도적으로 기획한 안민석(국회 문회체육관광위원장) 의원은 '스포츠강국을 넘어 스포츠선진국으로'라는 주제의 글을 담은 소책자를 통해 이날 토론회의 핵심 주제가 최근 발표한 스포츠혁신위원회의 권고안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는 데 맞춰져 있음을 알렸다.
이어 2부 순서로 이날 행사의 메인인 '체육특기자 대학입시제도 개선을 위한 실천적 대안 모색 토론회'가 열렸다. 삼성고등학교 김승겸 교감이 좌장이 된 이날 토론회는 4가지 주제로 개별 발제가 이뤄진 뒤, 5명의 토론자가 해당 주제에 대한 발언을 이어갔다. 이후 자유 토론이 이어졌다.
|
뒤이어 나온 이병호 서울체고 교무부장 겸 학교체육진흥회 체육인재육성위원회 위원은 '학교운동부 가치 재정립을 위한 운영규정 제정의 필요성'에 관해 발표했다. 이 위원은 '종목별 운영규정을 실질적으로 제정하고, 고교 대회의 인증에 대한 검토'를 제안했다.
세 번째 발제자로 나선 황승현 경북대 교수는 '대학체육특기자 학사관리센터'를 통해 학생 선수들의 최소 학력에 대한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는 제안을 했다. 마지막으로 김종윤 대한축구협회 대회운영실장은 '체육특기자 대학입시제도 개선 정책 제안'을 통해 주말리그의 대학입시 반영 확대 필요성을 역설했다.
|
이원만 기자 wman@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