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권 4개 광역자치단체, 충남북도, 대전시, 세종시가 2030년 하계 아시안게임 공동 유치를 선언하고 나섰다.
|
충청권 4개 시도지사들은 "560만 충청인의 역량과 염원을 모아 2030년 하계아시안게임 유치를 충청권이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 중심으로 도약할 기회로 삼겠다"고 입을 모았다. 유치의 첫번째 당위성은 '충청인의 자긍심'이다. 보도자료에도 공동 유치의 당위성 '1번'으로 "충청권 4개 시도의 경우 국제 종합스포츠대회를 개최한 사례가 전무하다"는 점을 들었다. 1988년 서울하계올림픽,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 2003년 대구유니버시아드,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 2015년 광주유니버시아드,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을 열거하며 유독 560만 충청권에서만 국제대회가 열리지 못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 4개 시도 각각의 목표도 또렷하다. 아시안게임을 통해 대전은 '동북아의 과학수도', 세종시는 '행정수도의 완성', 충북은 '아시아의 관문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충남은 '백제 역사, 문화, 관광 거점'등의 모토를 내걸었다. 스포츠 인프라 등 대회 기반 시설 확충을 통해 국제도시로 도약하는 한편, 2032년 서울-평양올림픽의 프레 대회 성격으로 한반도의 평화 분위기를 확산시키는 것을 목표 삼았다.
당초에는 충청북도와 세종시가 주축이 돼 2025년 충청권 하계 유니버시아드 유치를 구상했었다. 그러나 기간이 촉박하고, 공동유치하기에는 대회 규모가 작다는 여론에 따라 2030년 아시안게임 유치로 방향을 선회했다. 올해 충주세계무예마스터십을 유치하는 '스포츠 마니아' 이시종 충북도지사가 적극적으로 움직였다.
4개 시도가 연대한 이유는 '저비용 고효율'을 위한 것이다.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 2015년 광주유니버시아드 이후 제기됐던 '빚잔치'의 전철을 되밟지 않겠다는 뜻이다.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가 2030년 유치지를 공식적으로 공모하기 시작하면 대한체육회가 각 시도에 유치신청서를 받는다. 충청권은 공식 절차가 나오기도 전에 발빠르게 움직였다. 이와 관련 충청권 유치 관계자는 "국내 유치 경쟁을 선점하겠다는 의미"라고 의지를 표명했다. "4개 시도가 함께 하면 개최비용 등 부담도 줄어들고 개최로 인한 효과는 나눠갖게 된다"면서 "1993년 대전엑스포 이후 충청권에서는 스포츠 뿐 아니라 국제 규모의 이벤트가 전무했다. 충청인의 자존심 문제다. 아시안게임을 통해 국제규격의 시설을 신축, 개보수하는 한편, 충청인들이 하나로 화합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당초 대구광역시, 제주도도 2030년 대회 유치에 관심을 보였지만, 대구는 유치를 강력히 추진해온 박상하 국제정구연맹 회장이 최근 작고하면서 동력을 잃었다. 제주특별자치도도 아직까지 특별한 움직임이 없다. 국외 경쟁 유치지로는 필리핀, 인도, 아랍에미리트 등을 예상하고 있다. 충청권 유치 실무 관계자는 "자카르타-팔렘방에서 이미 아시안게임을 치렀고, OCA도 공식적으로는 아니지만 한, 중, 일 동아시아 유치를 선호하는 분위기다. 중국, 일본이 이미 대회를 치른 후인 만큼 유치지로 선정될 경우 개최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본다"며 기대감을 표했다.
|
엘리트 체육은 위기라는데 2032년 서울-평양남북올림픽 유치 신청에 이어 2030년 충청권 아시안게임까지 지자체의 국제대회 유치 붐이 일고 있다. 지난 11일 대한체육회 대의원총회에서 서울과 부산이 2032년 올림픽 유치지 선정을 놓고 첨예한 경쟁을 펼친 데 이어, 강원도가 2021년 동계아시안게임 남북 공동개최를 희망하고 있고 대한축구협회는 정부의 지지 속에 2030년 남북월드컵도 추진중이다.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 2015년 광주유니버시아드가 수조 원 대의 예산을 퍼부으며 비판 여론에 휩싸였고, 이후 한동안 지자체의 종합대회 유치 움직임은 잠잠했었다. 그러나 지난해 국민적 우려를 딛고 평창올림픽이 유례없는 성공을 거두면서 다시 경쟁이 불붙는 분위기다. 이른바 '평창 효과'다. 평창올림픽 당시 철도, 경기장 등 인프라 투자에 무려 12조 원의 혈세를 투입했던 정부는 우후죽순 지자체의 유치 열기에 난감한 표정이다. 특히 2032년 서울-평양올림픽, 2030년 남북월드컵과 시기적으로 겹치는 2030년 아시안게임 유치를 곤혹스러워 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지난해 6·13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각 지자체장들은 임기 초반 대회 유치에 의욕적이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선거 공약으로도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체육계의 한 관계자는 "평창효과에 고무된 지자체들이 최근 적극적으로 유치 경쟁에 나서고 있다. 충청권의 경우 그동안 국제대회 유치에서 소외됐다는 인식이 강하다. 지역 개발 및 인프라 개선의 기회로 보고 있다"면서 "그러나 종합대회 유치만이 능사가 아니다. 사후 활용 문제 등 과제가 산적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국제 체육계가 한국은 '봉'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국제대회 유치를 시도민, 시도 체육계가 강력하게 원한다기보다는 각 지자체장들이 위로부터 이끌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번 공동유치 협약 역시 선언적 의미가 크다. 지난해 평창올림픽을 통해 스포츠의 힘을 실감했고, 임기 내 눈에 띄는 치적을 쌓기 위해 국제대회 유치, 이를 통한 세수 확보, 인프라 투자만한 것도 없다는 인식에서 적극 나서는 것같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충청권 유치 관계자는 "2019년 개최 예정지였던 베트남이 비용과다 등 경제적 문제로 개최지를 반납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우리는 충청권의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해 저비용, 고효율의 선례를 마련할 것이다. OCA에 비용과다로 인한 개최지 선정문제의 해결모델을 제시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충남북도, 대전, 세종시 등 4개 시도는 공동유치를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이미 수립했다. 7일 공동유치 협약 직후 협약서를 문화체육관광부 주무부처와 도종환 장관에게 전달했다. 2월중 20명으로 구성된 유치 TF팀을 구성, 연내에 공동용역(3억 원)을 통해 아시안게임 유치 기본계획을 수립한다. 올해 하반기로 예상되는 대한체육회 개최 희망도시에 공모, 12월경 국내 후보도시로 확정되면 즉각 유치추진단을 구성하고, 2021년 대한체육회를 통해 OCA에 유치신청서 제출, 현지실사 후 2022년 OCA총회에서 개최도시로 확정되는 것을 목표 삼고 있다.
전영지 기자 sky4us@sportschosun.com
▶봄방학 신나는 초등생 스키캠프 열린다!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