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갤럽이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폐회식 이틀 후인 2월 27일부터 28일까지 전국 성인 1008명에게 금메달 5개, 은메달 8개, 동메달 4개로 종합 7위를 기록한 우리 대표팀 성적에 대해 물은 결과 63%는 '기대 이상', 28%는 '기대만큼의 결과'라고 답했으며 6%는 '기대 이하', 나머지 3%는 의견을 유보했다.
동계올림픽은 빙상 5개 종목(쇼트트랙·스피드·피겨 스케이팅, 아이스하키, 컬링), 설상 7개 종목(스노보드, 스키점프, 프리스타일 스키, 알파인 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 바이애슬론, 노르딕 복합), 슬라이딩 3개 종목(루지, 스켈레톤, 봅슬레이) 등 총 15개 종목으로 치러진다.
이번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가장 흥미롭게 본 종목을 물은 결과(2개까지 자유응답), 70%가 '컬링'을 꼽았고 그 다음은 '스피드 스케이팅'(29%), '쇼트트랙'(26%), '스켈레톤'(23%), '봅슬레이'(8%), '피겨 스케이팅'(5%), '스노보드'(4%), '아이스하키'(3%), '스키점프'(1%) 순이었으며 나머지 7종목은 1% 미만을 기록했다. 응답자의 6%는 흥미롭게 본 종목이 없거나 모른다고 답했다.
이번 올림픽을 통해 새롭게 관심 갖게 된 종목(자유응답)에서도 '컬링'이 55%로 가장 많아 이러한 관심이 향후 선수 지원이나 일반 동호인 저변 확대에 얼마나 영향을 줄 지 주목된다. 그다음은 '스켈레톤'(11%), '봅슬레이', '스피드 스케이팅'(이상 6%), '스노보드'(4%), '아이스하키'(2%) 등이 새로운 관심 종목으로 언급됐다.
|
인상적인 선수 상위권의 '김은정', '김영미', 그리고 '여자 컬링 대표팀' 응답을 더하면 49%다. 다시 말해 이번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여자 컬링 대표팀이 사실상 최고 스타라 할 수 있다. 귀화해 출전한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댄스 선수 '민유라-알렉산더 겜린'(2%)은 메달 없이도 인상적인 선수로 이름 올린 점에 주목할 만하다.
우리 국민 84%는 이번 평창 동계올림픽이 '성공적으로 치러졌다'고 평가했고, 7%만이 '성공적이지 못했다'고 봤으며 8%는 의견을 유보했다. 모든 응답자 특성별로 올림픽 개최 결과에 긍정적 시각이 우세했고 특히 대통령 직무 부정 평가자,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 지지층에서도 성공적이었다는 응답이 70% 내외다.
이번 올림픽이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하는 사람들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843명, 자유응답) '사고 없이 무난했다/전반적으로 잘함'(29%), '경기·행사·자원봉사 등 운영 원활', '북한 참가/남북 관계 개선'(이상 10%), '개·폐회식 잘함'(8%), '대표팀 선전'(7%), '국민 관심/호응/자부심'(6%), '저예산/흑자 운영'(5%), '외국/외신 호평', '국가/지역 홍보'(이상 4%) 등으로 나타났다.
성공적이지 않았다고 평가한 사람들은(72명, 자유응답) '대북 관계/북한에 이용당함'(20%), '행사 운영 손실/수익 부족'(16%), '남북 단일팀 구성'(15%), '국민 관심 부족/흥행 실패', '관람·숙박 요금 비쌈', '외교에만 치중/정치적 이용', '선수 관리 안 됨/선수단 내 갈등'(이상 7%) 등을 지적했다.
국내 개최 주요 스포츠 대회인 2002년 한일 월드컵 직후 평가('성공적' 98%)에는 못 미치지만,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47%)에 비하면 상당히 높은 편이다.
김성원 기자 news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