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이 10개월여 앞으로 다가왔다. 한국은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30년 만에 홈에서 치르는 올림픽을 위해 각종 경기장 및 편의시설을 신축했다. 개·폐회식장을 포함해 13개 올림픽 시설을 짓고 있다. 대회가 열릴 평창-강릉 일대는 마무리 준비로 분주하다. 그러나 간과해선 안 될 부분이 있다. 바로 사후관리다. 신축한 경기장과 시설은 유형의 유산으로 남는다. 올림픽 유산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과도 달라질 수 있다.
대표적인 예가 있다. 2016년 리우올림픽 개폐회식이 열렸던 마라카낭. 폐막 8개월여가 지난 현재 경기장은 잡초가 무성한 폐허로 변했다. 반면 1972년 삿포로동계올림픽을 치렀던 일본은 45년 전 시설을 활용해 2017년 삿포로동계아시안게임을 유치하기도 했다. 그야말로 극명한 대비. 평창동계올림픽에 보내는 귀중한 메시지다.
그는 "평창동계올림을 위해 지은 시설을 사후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 국민의 세금을 들여 신축한 만큼 결국은 시민의 품으로 돌려줄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 그동안 각종 대회를 치르며 남긴 공공체육시설은 일반적으로 정부 및 지자체가 직접 관리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시민이 불편을 겪는 일이 발생했다.
유 소장은 "공무 편의에 따라 시설을 관리하다 보니 이용자가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발생했다. 또한 관리 공무원들은 인사이동이 있는 만큼 전문성을 갖출 만하면 보직 발령을 받는 경우가 많다. 시민이 보다 편하게 자유롭게 시설을 활용할 수 있도록 민간, 혹은 관리 단체에 위탁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민간위탁의 흐름은 세계적인 트렌드다. 눈여겨볼 점은 경기장을 단순히 경기장만으로 활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영국의 O2 아레나는 공공 체육시설이었으나 민간이 재개발해 운영하고 있다. 2만명 이상 수용하는 아레나를 큰 돔으로 덮고 영화관이나 레스토랑 시설 등을 유치했다. 이곳에서는 스포츠와 콘서트로 연간 220여일 가동되고 있다.
물론 세금으로 지은 시설인 만큼 민간에서 위탁 운영하더라도 철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유 소장은 "협약 사항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지, 서비스 수준이 제대로 유지되고 있는지 등을 철저히 모니터링해 합리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