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원하늘숲길트레킹

스포츠조선

평창동계올림픽 남북공동개최의 허상

김성원 기자

기사입력 2011-07-13 13:12


◇자크 로게 IOC 위원장이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평창을 외치고 있다.

강원도 평창이 세 번째 도전 끝에 2018년 동계올림픽 유치 꿈을 이뤘다. 환희도 잠시, 후폭풍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다. 남북 공동개최가 도마에 올랐다.

손학규 민주당 대표는 11일 "평창 동계올림픽을 남북 공동으로 개최하는 방안을 심각하고 진지하게 검토하겠다. 평창올림픽을 통해 대한민국 분단사의 전기를 만들고 세계평화의 전환점을 만들겠다"며 불을 지폈다.

북한측 인사가 처음으로 반응했다. 긍정적이었다.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총회 참석차 일본을 방문한 장 웅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은 13일 나리타국제공항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공동개최에 대해 "그렇게 되길 원한다"고 했다. 1996년 IOC 위원에 선임된 그는 북한 체육계 최고위급 인사다.

하지만 구체적인 안도 없이 말들만 무성해 논란의 불씨가 되고 있다. 남북 공동개최는 현실성이 떨어진다.

추진할 경우 평창동계올림픽의 모든 틀을 바꿔야 한다. IOC와의 약속을 깨야 한다. 평창과 독일 뮌헨, 프랑스 안시는 프레젠테이션(PT)을 나흘 앞둔 3일 개최도시 협약서에 사전 서명을 했다. PT 내용대로 올림픽을 개최하겠다는 서약이었다.

평창은 PT에서 콤팩트한 경기장 배치로 IOC위원들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모든 경기장을 30분내에 위치하도록 설계했다. 하지만 북한과 공동개최할 경우 30분내 이동은 불가능해진다. 군사분계선을 넘어 자유로운 왕래도 쉽지 않다.

경기장 건설 등으로 인한 비용도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경제난에 허덕이고 있는 북한이 공동개최를 할 능력이 있는지 의문이다. 한국이 경기장을 건립해 줄 경우 비용은 물론 사후 활용 문제도 넘어야 할 산이다.

IOC가 수용할 지도 미지수다. 남북통일과 세계평화라는 명분은 어느덧 진부한 소재가 됐다. 평창은 두 차례 눈물을 흘리는 과정에서 이를 부각했다. 하지만 IOC 위원들의 눈길을 끌지 못했다. 2018년 키워드는 '새로운 지평(New Horizons)'이었다. 미래지향적으로 개념을 전환했다. 아시아 전지역에 동계스포츠를 확산시킨다는 역동성을 담아 유치에 성공했다. 계획이 변경될 경우 유치에 실패한 뮌헨과 안시가 반발할 수도 있다.


체육계도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입장이다. 박용성 대한체육회장은 최근 "남북한 분산 개최와 같은 말은 사정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나오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국민들의 시선도 부정적이다. 한국갤럽조사연구소가 최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남북 분산 개최에 대해 반대가 73.3%로 찬성(18.0%) 의견을 압도했다.

장 위원은 "남북간 정치, 군사적 상황이 안 좋은데 그것을 개선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올림픽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남북 공동개최는 감성적이 아닌 이성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김성원 기자 newsme@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