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 미국 식품의약청(FDA)은 표준 치료제가 잘 듣지 않는 크론병(Crohn's disease) 치료제로 경구용 우파다시티닙(제품명 린버크)을 승인했다.
크론병은 궤양성 대장염(UC: ulcerative colitis)과 함께 2대 염증성 장 질환(IBD: inflammatory bowl disease)의 하나로 소화기관 전체에서 발생할 수 있다. 대장과 소장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발병하는 경우가 많고 그다음으로 대장, 회장 말단부, 소장 등에서 발생한다.
FDA는 류마티스 관절염 등 다른 질환 치료제로 승인된 우파다시티닙을 종양괴사 인자(TNF·tumor necrosis factor) 차단제가 듣지 않는 중등도(moderate) 내지 중증 크론병 환자를 위해 쓸 수 있도록 적응증 추가를 승인했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20일 보도했다.
우파다시티닙은 TNF 차단제에 반응하지 않는 중등도 내지 중증 크론병 환자 857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두 차례의 무작위 대조군 설정 임상시험에서 관해(remission)와 염증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임상시험 참가 환자들에게는 우파다시티닙 45mg 또는 위약(placebo)이 12주 동안 투여됐다.
그 결과 유지용량이 투여된 그룹이 위약이 투여된 대조군보다 관해(remission)와 염증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났다.
부작용은 상기도 감염, 빈혈, 여드름, 대상포진, 두통이었다.
우파다시티닙은 크론병 치료에 쓰이는 다른 JAK 억제제, 생물학적 제제 또는 강력 면역억제제(아자티오프린, 사이클로스포린 등)와 함께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FDA는 강조했다.
우파다시티닙은 첫 12주 동안은 45mg을 하루 한 번 투여하고 그다음부터는 유지용량으로 15mg을 투여해야 한다.
다만 크론병이 중증이거나 발병 범위가 넓을 경우엔 유지용량을 30mg으로 높일 수 있다고 FDA는 밝혔다.
skhan@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