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 분점 집단지도체제 이탈…마오쩌둥 절대권력 우려도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 "1인자 당수에 나머지는 부하들로 짜인 피라미드 시스템이다."
17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전날 중국 공산당과 국무원이 발표한 '당과 국가기구 개혁 방안'에 대해 싱가포르국립대 리콴유 공공정책학원의 알프레드 우 교수는 이같이 짚었다.
중국 당국의 이번 개혁 방안은 시 주석 중심의 당 중앙위원회가 그동안 행정부 격인 국무원이 주도해온 금융과 과학기술, 홍콩 등 국정 중대 현안을 장악하는 것이 골자다.
이로써 개혁개방을 통해 중국을 미국에 버금가는 G2(주요 2개국)로 성장시킨 덩샤오핑의 당과 행정부 간 '권력 분점' 집단지도체제가 막을 내렸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금융 분야에서 국무원 산하 금융안정발전위원회가 폐지되고 당 중앙금융위원회가 신설된 점이 눈에 띈다. 국무원의 금융 통제권이 당으로 넘어간 것이다.
금융 정책 결정과 관련 기관 간 조율을 맡은 당 중앙금융위는 국무원 산하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과 증권감독관리위원회를 관리·통제하게 된다.
첨단반도체와 인공지능(AI) 등 중국의 미래를 결정지을 핵심 산업에 대한 미국의 대(對)중국 압박이 갈수록 커지는 가운데 과학 기술 분야에 공산당의 지휘권이 강화된 점도 놓쳐선 안 될 대목이다. 당 중앙 기구로 과학기술위원회를 신설한 것이다. 이는 미중 과학기술 패권 경쟁을 시 주석이 직접 지휘한다는 걸 의미한다.
공산당 중앙홍콩마카오공작판공실이 신설된 것은 서방과 잦은 충돌을 일으키는 홍콩 문제를 시 주석이 직접 다루겠다는 의지로 비친다.
지난해 '제로 코로나' 정책 등에 반발해 잦은 시위와 불만 표출이 이어져 온 가운데 공산당에 중앙사회공작부를 신설함으로써 이 또한 당이 직접 챙기겠다는 의지가 읽힌다.
이런 가운데, 이 같은 '시진핑 1인 체제' 질주가 권력 사유화와 중앙 집권화로 대약진·문화대혁명 등 파괴적인 정치 운동을 일으켜 수천만 명을 기근과 아사로 몰아넣었던 마오쩌둥 절대권력 체제로 돌아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kjihn@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