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후유증은 피로감, 기침, 호흡곤란, 소화기 및 폐 기능 저하 등의 증상이 있다.
올해 3월 중앙방역대책본부가 발표한 코로나19 회복 이후 지속되는 후유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환자의 20~79%에서 다양한 후유증이 나타났다.
폐섬유화는 몸에 산소를 공급하는 폐가 점점 딱딱하게 굳어지며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이다. 폐의 가장 말단 부분인 폐포 사이에 위치한 조직을 간질이라고 하는데, 이 부위에 반복적으로 염증이 발생하게 되면서 폐의 형태가 변형되고 두꺼워지는 병이다. 증상이 심각할 경우 호흡부전으로 생명에 지장을 줄 수 있으며, 진단 후 5년 생존율이 40% 미만일 정도로 예후가 좋지 않다.
폐섬유화의 가장 흔한 증상은 기침, 호흡곤란과 가래다. 기침은 우리 몸에 들어온 이물질이나 분비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정상적인 방어 작용으로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됐던 환자가 기침을 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기침은 보통 3주 이내 사라지는데, 코로나 완치 후에도 지속되거나 호흡곤란 등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거나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가쁘면서 숨쉬기가 어렵다면 폐섬유화 가능성을 의심해 보는 것이 좋다. 다만, 폐섬유화를 증상이 비슷한 폐렴 또는 만성기침으로 오인해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
폐섬유화는 단순 폐렴과 구분이 어렵고 진단이 까다로운 질환이지만, 혈액 검사 등의 보조진단을 통한 조기 진단 및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KL-6(Kerbs von den Lungen-6) 검사'는 폐 섬유화를 선별할 수 있는 혈액검사다.
안선현 GC녹십자의료재단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는 "코로나19 회복 환자 가운데 상당수가 폐섬유화 증상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섬유화가 진행된 폐조직은 원래 상태로 되돌릴 없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코로나19 완치 후 마른 기침이나 호흡곤란이 4주 이상 지속된다면 KL-6 검사를 통해 폐 상태를 확인해보고 전문의와 논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