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은 23일 무증상 입국자에 의해 원숭이두창이 지역사회로 퍼졌을 가능성을 묻자 "비말 등이 주된 감염 경로인 코로나19와는 달리 확진자와 밀접 접촉한 경우가 아닌 국내 일반 인구에서의 전파 위험은 상대적으로 낮다"며 이같이 밝혔다.
질병청은 다만 "잠복기 중 입국하거나 검역단계에서는 증상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향후 지역사회에서 감염된 환자가 나올 수도 있다"며 "국내에 입국한 의심환자를 놓치지 않고 진단하는 것이 우선 중요하다"고 말했다.
지역사회 전파 가능성과 관련해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감염내과) 교수는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100% 없다고 배제할 수는 없겠지만, 지역사회의 유입과 유행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비말을 통한 감염 가능성에 대해서는 "전신감염증 형태로 진행한 환자의 경우 비교적 큰 크기의 비말(침)에 바이러스가 묻어나올 수가 있고, 이런 비말에 노출이 되면 감염이 될 수 있다"며 "다만 코로나19와 같은 그런 비말 감염, 즉 조금 거리가 있더라도 전파가 되는 그런 양상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방역당국은 전날 확진 판정을 받은 국내 첫 원숭이두창 환자가 인천의료원에서 지속적인 치료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은 "원숭이두창 확진 환자는 지침상 시도 지정입원치료병상에서 치료를 받는데, 초기 확진 환자의 경우 중앙감염병전문병원인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치료하기로 했다"며 "다만 첫 확진자는 입국 즉시 지정입원치료병상인 인천의료원으로 옮겨졌고, 이동 최소화 등을 고려해 처음 배정된 병상에서 지속 치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bkkim@yna.co.kr
[https://youtu.be/uiCQEPeW1Bw]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