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여성과 고령층 고용의 질이 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면서 크게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우리나라 고용의 질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1월 수준을 100으로 봤을 때, 고용의 양(취업자 수)은 올해 4월 기준 102.1에 이르지만, 고용의 질(지수)은 99.2로 100을 넘지 못했다.
송상윤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과장은 보고서에서 "최근 고용의 질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회복 속도는 고용의 양과 비교해 다소 더디다"고 진단했다.
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면서 전반적으로 대면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근로시간이 줄었고, 여러 조건에서 가장 취약한 일자리 비중은 오히려 커졌다는 뜻이다.
특히 여성과 고령층의 타격이 컸다.
올해 4월 기준 고령층(60세 이상) 여성 노동자 가운데 41.6%가 '다소 취약 노동자', 3.4%가 '매우 취약 노동자'로 분류됐다. 같은 연령대 남성 노동자 내 취약 노동자 비중(다소 취약 29.4%·매우 취약 3.6%)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연령별로는 고령층 남·여 취약 노동자 비중(33.0%·45.0%)이 청년층(15∼29세) 남·여 취약 노동자 비중(24.0%·24.6%)보다 컸다.
송 과장은 "산업구조 변화 등으로 근로시간 정상화가 어려운 노동자의 이직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사회안전망, 수요자 중심 직업 교육 등 정책 환경을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여성 고용의 질 저하 문제에 대해서는 "육아 중인 여성 노동자를 대상으로 일자리 공유를 확대하고, 재택근무도 제도화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shk999@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