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인 알리오에 따르면 지난해 육아휴직 관련 기록이 있는 공공기관 368곳 중 98.4%인 362곳에 육아휴직자가 있었다. 이중 86.4%인 318곳에는 남성 육아휴직자가 있었다.
지난해 전체 육아휴직자 2만972명 중 남성은 3722명으로 17.7%를 차지했다. 남성 육아휴직자의 비중은 2017년 9.9%에서 지속 상승해 2018년 12.3%, 2019년 14.6%, 2020년 16.6% 등으로 올랐다. 공공기관의 남성 육아휴직자 수 자체도 2017년 1432명에서 지난해 3722명으로 2.6배로 늘었다.
공공기관의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이 매년 높아지는 것은 육아휴직에 대한 인식이 점차 개선되고 있기 때문이다. 직장의 업무 공백이나 승진 등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지만 육아는 부모 모두 함께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확산하며 남성들의 참여가 늘고 있다.
다만 공공기관의 남성 육아휴직 비율은 공무원과 비교하면 낮은 편이다. 인사혁신처가 지난 5일 발표한 '중앙부처 육아휴직자' 현황을 보면 지난해 육아휴직을 사용한 국가공무원 1만2573명 중 남성이 5212명으로 41.5%를 차지했다. 해당 비율은 2012년 11.3%에 그쳤지만 2017년 22.5%, 2018년 29.0%, 2019년 33.9%, 2020년 39% 등으로 매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