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도·시·군에 대한 봉쇄 조처를 하는 가운데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방역체계 허점을 강하게 질타했다.
조선중앙통신은 13일 김정은 위원장이 전날 국가비상방역사령부를 방문해 "방역 위기상황에 대처해 국가방역사업을 최대비상방역체계로 이행한 후 하루 동안의 방역실태에 대해 점검하고 전국적인 전파상황을 료해했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현장에서 "4월 말부터 원인을 알 수 없는 열병이 전국적 범위에서 폭발적으로 전파확대돼 짧은 기간에 35만여명의 유열자(발열자)가 나왔으며 그중 16만2천200여명이 완치됐다"는 보고를 받았다.
이어 "5월 12일 하루동안 전국적 범위에서 1만8천여명의 유열자가 새로 발생했고 현재까지 18만7천800여명이 격리 및 치료를 받고 있으며 6명이 사망했다"는 사실도 보고에 포함됐다. 사망자 중에는 '스텔스 오미크론'으로 불리는 BA.2 확진자 1명도 포함됐다.
이에 김 위원장은 "열병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해 동시다발적으로 전파확산됐다는 것은 우리가 이미 세워놓은 방역체계에도 허점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심각히 지적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아울러 보건·비상방역 부문에 발열자들의 병 진행상황을 치밀하게 관찰하고 과학적인 치료방법과 전략을 세우며 의약품 보장대책도 강화할 것을 지시했다.
김 위원장은 "직면한 보건 위기상황을 하루속히 역전시키고 방역의 안정을 회복하며 우리 인민의 건강과 안녕을 수호하는 것은 우리 당 앞에 나선 가장 중차대한 도전이고 지상의 과업"이라며 "방역전쟁을 승리적으로 주도해 나갈 당 중앙의 결심과 의지·전략전술을 천명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북한은 전날 김 위원장 주재로 열린 당 정치국 회의에서 2019년 말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이후 처음으로 확진자가 발생했다고 공식 인정하고 국가방역체계를 '최대 비상방역체계'로 이행하겠다고 선언했다.
김 위원장은 전날 방역정책의 주요 과업으로 ▲ 전국의 모든 시·군 지역 봉쇄 ▲ 전선·국경·해상·공중 경계근무 강화 ▲ 사업·생산·생활단위별 격폐 후 생산활동 ▲ 비상시 대비 의료품 비축분 동원 등을 지시했다.
김 위원장은 전날 새벽부터 당 정치국 회의를 개최한 데 이어 국가비상방역사령부까지 방문해 코로나19 확산 상황을 파악하는 일정을 소화한 것으로 보인다.
[https://youtu.be/chruEzDCkeE]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