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허리 디스크 환자들이 갖는 고민에 대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수술 직후 한 달 이내 통증이 크게 나아졌으나 장기적인 효과는 비수술적 치료와 큰 차이가 없었다.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천기 교수팀(김기정·박윤관·김치헌·최윤희 교수)은 수술적 치료가 권유돼 상급의료기관으로 의뢰된 추간판 탈출증 환자 128명을 대상으로 수술 여부에 따른 통증과 삶의 질 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추간판 탈출증은 추간판이 돌출돼 요통 및 다리 통증 등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요통 환자 중 절반 이상이 추간판 탈출증을 앓고 있다. 증상이 지속된 기간, 통증의 강도, 신경학적 장애 등을 고려해 수술과 비수술적 치료로 나뉜다.
연구팀은 대상자를 수술을 받은 환자 57명, 비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71명으로 나눈 뒤 2년간 추적 관찰해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수술을 받은 환자는 비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와 비교해서 한 달 내로 빠르게 허리와 다리의 통증이 나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년가량 추적 관찰하면 비수술적 치료 이후에도 증상은 점진적으로 호전돼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에서 효과의 큰 차이가 없었다.
단 연구팀은 비수술적 치료로 통증과 삶의 질이 나아질 수는 있으나 더디게 호전된 데 따른 경제 활동과 일상생활의 제한이 있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고 봤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 수술과 비수술의 효과에서 큰 차이는 없으나, 시간이 흐르는 과정에서 사회·경제학적 손실과 삶의 질 저하 문제를 고려해 봐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수술이 권유된 환자가 비수술적 치료를 선호하는 경우 치료의 옵션이 될 수는 있다"면서도 "마비가 동반되거나 심한 추간판 탈출증 등 수술적 치료가 꼭 필요한 경우도 있어 꼭 전문가와 상의를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에 이달 개재된다.
jandi@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