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비난을 넘어 재발 방지에 힘써야 할 시간이다. 오래 곪아있던 부위라 하루아침에 도려내는 건 쉽지 않다. 명확한 규정과 시스템을 통해 배구계 '학폭'이란 요소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한 배구 관계자는 "'학폭'은 열악한 배구계 인프라에서 발생되는 괴리 중 한 가지"라고 주장했다. 중·고교 배구부를 운영하는 학교수가 턱없이 부족한 현실을 꼬집은 것이다. 여자배구 운동부만 따져보면, 여자배구 중학교는 20곳, 여자배구 고교는 19곳밖에 없다. 여중 배구부의 전국 분포도를 살펴보면 충남, 광주, 충북(2), 인천, 전북, 전남, 경남, 경북, 울산, 경기(2), 서울(3), 대전, 경기, 대구, 강원, 부산 등 전국에 퍼져있다. 그러나 좋은 성적을 내는 학교는 수도권에 몰려있다. 지방에서 기량이 좋은 선수들을 데려오려면 합숙을 시킬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한국에선 2019년부터 '합숙'이 폐지됐다. 체육 분야 구조혁신을 위해 민관합동으로 구성된 스포츠혁신위원회가 학교 스포츠 정상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서 학교운동부 개선 부문에서 합숙소를 전면 폐지하라고 권고했다. 다만 현실을 반영해 원거리 학생을 위한 기숙사만 제한적으로 허용하도록 했다. 그런데 배구 기량이 다소 떨어지는 선수들은 지방으로 내려가야 하는데 팀이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기숙사를 이용해야 하는 상황이다. '합숙'이란 단어만 없어졌을 뿐 합숙이 기숙사로 둔갑된 현실이다. 애초부터 '학폭'은 크게 개선될 수 없는 구조였던 것이다. 한 마디로 현실성이 떨어진 스포츠 혁신위 권고사항이었다.
배구협회는 연맹과의 협업을 통해 지도자와 선수 교육 시스템 마련에 힘을 쏟아야 한다. 협회에는 필기시험, 실기시험, 인터뷰 등 절차를 통해 지도자 자격증을 발부하는 시스템이 있다. 다만 이 교육은 배구기술에 해당되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감독 출신 한 배구인은 "초중고 뿐만 아니라 프로 감독들도 지도자 자격증을 매년 갱신할 때 보수교육을 받는다. 다만 그 속에는 '학폭'의 넓은 범주인 스포츠 인권과 인성교육 등의 내용이 없다. 선수를 선수로 만드는 지도자들부터 제대로 된 인성교육이 필요하지 않나"라고 말했다.
다른 배구 관계자는 "아마추어 선수부터 프로 선수까지 선수 신분을 유지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학폭'과 '승부조작', '도핑' 등 교육을 통해 선수생명을 앗아갈 수 있는 경각심을 심어주는 노력이 필요하다. 반복된 교육을 통해 선수들의 잠재의식 속에 동료의 인권을 무시하면 어떤 처벌을 받는지도 교육할 필요가 있다. 안정된 심리상태에서 좋은 인성을 가진 선수와 지도자로 성장할 수 있는 아카데미 수립이 절실해보인다"고 귀띔했다. 스포츠콘텐츠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