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V리그 여자부에선 또 다른 학폭 가해 의혹이 제기됐다. 학폭 피해자는 이날 오전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 '신입프로여자배구 선수 학폭 피해자입니다'란 제하의 글을 통해 학폭 피해 사실을 공개했다.
피해자는 가해자의 구체적인 학폭 사실을 폭로했다. '가해자는 거지같다, 더럽다, 죽어라, X발년, X신 등 언어폭력을 지속적으로 해왔다. 나의 유학 소식에 유학가도 네 인생은 망했다라는 등 온갖 욕들을 3년간 학교 생활 중에 들어왔다. 또한 매일 악담도 서슴지 않았다(중략).'
A구단 관계자는 "시즌 중인 선수들에게 '학폭'에 관련된 내용을 묻기도 애매하다. 자칫 팀 분위기를 망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인 안된 이야기로 선수들을 잠재적 범인으로 만들 순 없다"며 "마녀사냥 같은 글도 보인다"고 했다.
이번 학폭 논란에 담당 단체들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각 프로 구단과 대한민국배구협회는 이미 무기한 출전정지와 국가대표 자격 박탈이라는 중징계를 내렸다. 한국배구연맹(KOVO)과 대한민국배구협회는 16일 오후 학교폭력 규정 신설부터 예방대책을 긴급 논의했다.
정치권에서도 목소리를 냈다. 지난 15일 문재인 대통령이 체육계 폭력 등 '스포츠 인권 문제' 해결을 당부한 이후 정부가 피해자 보호 방안을 담은 시행령 개정안을 의결했다. 국무회의를 통과한 '국민체육진흥법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은 폭행 피해 선수를 보호하기 위한 임시 보호시설을 설치하는 내용이다. 피해자를 가해자로부터 즉시 분리해 보호하자는 취지. 지난해 고 최숙현 트라이애슬론(철인 3종경기) 선수 사건을 계기로 개정된 법안의 후속 조치에 해당한다. 문 대통령은 황 희 신임 문체부 장관에게 체육계 폭력 근절을 위한 '특단의 노력'을 당부하기도.
일각에선 "공소시효도 지나 법적으로 처벌하기도 힘든 학폭에 배구계가 멍들고 있다"고 얘기하지만, 10년 전이든, 20년 전이든 '학폭'은 용서받을 수 없는 범죄행위다. 가해자는 잊고 지낼 수 있지만, 피해자는 평생 가슴에 못이 박힌 채 살아가야 한다. 김진회 기자 manu35@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