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한국 정부는 "이란이 구급차 도입을 희망해 왔다"며 우리가 아닌 이란의 제안으로 이 문제를 협의해왔다고 반박했다.
한국 시중은행에 동결된 이란 자금을 둘러싼 양국간 갈등이 계속 확산하는 양상이다.
그는 "우리를 겨냥한 (미국의) 경제 전쟁과 압박(제재)에 맞서 3년간 이 나라를 운영했다"라며 "따라서 우리는 구급차 몇 대가 필요한 게 아니라 한국에 동결된 돈이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또 이번 주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의 이란 방문은 이란 외무부와 중앙은행이 한국을 압박해 지난달 이미 준비됐다면서 4일 발생한 한국 선박 억류와는 관계없는 일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바에지 실장의 언급으로 미뤄보면 최 차관은 이란 정부 측을 만나 코로나19에 대응하는 의약품과 의료 장비 등 인도적 물품을 보내고 그 금액만큼 이란의 동결자금을 상계하는 방안을 제안한 것으로 보인다.
인도적 물품을 이란과 거래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미국의 대이란 제재의 예외가 인정되지만, 이 동결자금이 제재 대상인 이란중앙은행 명의인 탓에 미국과 사전 협의가 필요할 수 있다.
또 한국이 동결자금을 해제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 법적 조치를 위한 예비 작업을 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14일 브리핑에서 "구급차를 수입, 도입하기를 바란다는 이란 측 제안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이란이) 구급차 도입을 희망해 왔기 때문에 이번에 협의가 있었다"며 "이란 비서실장이 새삼 우리가 (구급차를) 제안했다고 했는데 이 부분은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외교부 일각에서는 이란이 양국간 협의 내용을 일방적으로 왜곡해서 공개한 데 대해 황당해하는 분위기도 읽힌다.
한국의 은행 2곳(우리은행. IBK기업은행)에 개설된 이란중앙은행 명의의 원화 계좌에는 약 70억 달러(7조8천억원)에 달하는 이란 석유 수출대금이 예치됐다.
한국과 이란은 미 재무부 승인을 받아 2010년부터 이 계좌를 통해 달러화로 직접 거래하지 않으면서 물품 대금을 결제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 정부가 2018년 5월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를 파기하고 테러를 지원한다는 이유로 이란중앙은행을 제재 대상에 올리면서 이 계좌의 운용이 중단돼 이란의 자금이 동결됐다.
이 계좌를 계속 운용하면 한국의 두 은행은 미국의 2차 제재(세컨더리 보이콧)에 저촉돼 제재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hskang@yna.co.kr
gogo213@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