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병원 신경과 윤영철·한수현 교수 연구팀은 인공지능(AI) 뇌파분석 전문기업인 아이메디신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최근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기억장애유형 중 저장장애와 인출장애 유형에 따른 차이'에 관한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공동 연구팀은 87명의 저장장애를 가진 경도인지장애 환자와 78명의 인출장애를 가진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뇌파분석 소프트웨어인 '아이싱크브레인(iSyncBrain)'을 활용한 뇌파데이터(qEEG) 분석과 fMRI검사를 통해 차이를 비교 분석했다.
또한, 71명의 정상인 대조군과 MRI를 이용해 뇌의 회백질(GM)의 밀도와 부피의 차이를 검사하는 화소기반형태분석(VBM)을 통한 피질의 볼륨에서는 저장장애 유형의 경도인지장애 환자군의 양쪽 해마 영역에서 뇌의 회백질의 부피 감소가 대조군에 비해서 두드러진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로써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경도인지장애 환자 중 저장장애 유형이 인출장애보다 알츠하이머병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유형의 경도인지장애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이 알츠하이머병으로 알려져 있지만, 해마의 구조적 변화만 가지고는 해마의 기억 저장능력의 손상 여부를 정확히 판별하기가 어렵다.
윤영철 교수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기능적 변화를 민감하게 반영하는 뇌파(qEEG) 분석과 자기공명영상 부피분석(MRI volumetry)을 통해 그 차이를 명확히 분별해 내는데 성공했다.
대뇌 피질은 퇴행성 손상을 받으면 얇아지고 서로간의 네트워크 회로에 장애가 발생하는데, 그때 동반되는 미세한 뇌파 변화와 MRI 부피분석을 통한 해마의 위축여부를 확인해 입증한 것이다.
이어 "최근 알츠하이머병 치료약물 개발이 초기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조기선별이 가능한 경제적인 도구가 절실한 상환에 정량뇌파검사가 그 가능성을 갖고 있어 앞으로도 전향적 연구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한편, 중앙대병원 신경과 윤영철 교수 연구팀의 이번 연구는 주요 신경정신질환의 뇌파 바이오마커를 개발하는 아이메디신(대표 강승완)의 인공지능(AI) 뇌파분석플랫폼 '아이싱크브레인'을 기반으로 진행된 가운데, 알츠하이머 연구 및 치료 분야에 있어 세계적인 국제학술지 '알츠하이머 연구 및 치료(Alzheimer's Research & Therapy)' 저널 최신호에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