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탄산음료 1캔 당류 평균 함량, 각설탕 11개와 맞먹어…소시지 1개 나트륨은 WHO 1일 권고량의 67%"

김소형 기자

영문보기

기사입력 2025-04-14 10:24


이미지=픽사베이

편의점 판매 다소비식품의 당류·나트륨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이 지난해 10∼12월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음료, 간식, 식사대용 식품 등 91건의 영양성분을 조사한 결과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제로 음료를 제외한 음료류에 들어 있는 1회 제공량당 당류 평균 함량은 22g으로 세계보건기구(WHO) 1일 당류 권고섭취량(50g)의 44%에 달했다. 이 중 탄산음료 1캔의 당류 평균 함량은 각설탕 11개 분량에 버금가는 32g으로 조사됐는데, 특히 에너지음료는 1캔당 당류 평균 함량이 35g으로 WHO 당류 권고섭취량의 70%에 달했다. 간식류의 1회 제공량당 당류 평균 함량은 20g으로, 초콜릿 함유 빵은 최대 42g으로 나타났다.

식사대용 식품의 1회 제공량당 나트륨 평균 함량은 685㎎(310∼1333㎎)으로 조사됐다. 나트륨 함량이 제일 높은 개별 식품은 소시지(1333㎎/1개)로, WHO 1일 나트륨 권고량(2000㎎)의 67% 수준이었고, 햄버거·삼각김밥 등 즉석섭취식품도 나트륨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이번 조사에서 당류 함량이 표시 기준을 초과한 4개(캔디류 2건, 빵류 1건, 초콜릿가공품 1건)의 제품에 대해 관할 기관에 행정처분을 의뢰했다.

한편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평균 당류 섭취량은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 보다 낮은 수준이지만, 어린이, 청소년, 청년 연령층에서 권고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공식품 중 당류 섭취의 주공급원은 음료류(32.2%)였고, 과자류·빵류 및 떡류(15.7%), 당류(11.1%)가 뒤를 이었다. 또한 국민건강통계를 통해 공개된 우리나라의 나트륨 섭취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해 2012년 4549mg에서 2021년 3038mg까지 줄었다. 하지만, WHO 권장량인 2000mg의 1.5배에 달한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