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으로 세계무역 질서에 어떤 일이 펼쳐질지 아무도 예상할 수 없다. 자국 보호주의 확산으로 자유무역이 영원히 끝날지, 아니면 트럼프 임기 동안 극심한 혼란을 거듭하다 다시 제자리를 찾게 될지는 그 누구도 모른다. 다만 확실한 것은 '교역상대국이 불공정한 무역으로 미국 근로자의 일자리를 빼앗고 무역적자를 키운다'는 트럼프의 인식이 바뀌지 않는 한 동맹·비동맹을 가리지 않는 압박이 임기 내내 계속될 것이란 점이다. 전 세계를 상대로 한 상호관세에 이어 수입산 자동차 25% 관세, 캐나다·멕시코 25% 관세 유예 종료가 예고돼있고 반도체·의약품 등 관세부과 품목이 더욱 확대될 공산도 크다.
관세 다음을 내다보는 시각도 있다. 트럼프의 경제 교사 격인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의 스티븐 미란 위원장이 쓴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무역적자를 줄이기 위해 트럼프가 사용할 다음 무기는 환율이다. 미국 무역적자는 기축통화 수요로 인한 달러 강세에 원인이 있으므로 1985년 플라자 합의처럼 교역상대국을 압박해 달러 가치를 절하하는 합의를 유도함으로써 무역적자를 줄일 수 있다는 논리다. 이른바 '마러라고 협정'이다. 효용성을 놓고 경제 전문가들의 비판이 쏟아지지만, 관세로 인한 자국 내 물가 상승과 주가 급락, 경기침체 우려를 아랑곳하지 않는 트럼프의 특성상 실행 가능성이 아예 없어 보이진 않는다.
hoonkim@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