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 항균제 내성 촉진 '핫스폿' 역할"

김소형 기자

영문보기

기사입력 2025-03-12 08:44


"미세플라스틱, 항균제 내성 촉진 '핫스폿' 역할"
이미지=픽사베이

세계적으로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미세플라스틱이 항균제 내성을 촉진하는 박테리아의 서식지로 작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미국 미생물학회(ASM) 저널 '응용·환경 미생물학(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에 실린 저널에서, 무하마드 자만 보스턴대 교수팀은 대장균을 미세플라스틱과 함께 배양하는 실험을 통해 미세플라스틱이 항생제가 없는 상태에서도 세균의 항균제 내성(AMR)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항균제 내성균 증가에는 환경적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특히 미세플라스틱은 표면에 박테리아 군집, 즉 '플라스티스피어'(plastisphere)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지적했다. 미세플라스틱이 단순히 내성 박테리아 운반체가 아니라 항균제 내성 진화에서 핫스폿 역할을 한다는 주장이다.

연구팀은 폴리스티렌과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10㎛~0.05㎜ 미세플라스틱으로 만들고 10일 동안 밀폐 공간에서 대장균을 함께 배양했다. 그리고 2일마다 널리 사용되는 암피실린과 시프로플록사신, 독시사이클린, 스트렙토마이신 등 4가지 항생제를 사용해 대장균을 죽이는 데 필요한 최소량을 측정해 항균제 내성에 변화가 있는지 확인했다.

연구 결과 미세플라스틱의 크기와 농도에 관계 없이 밀폐 공간에서 함께 배양된 대장균들은 5~10일 이내에 4가지 항생제에 모두 내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같은 박테리아의 항균제 내성은 미세플라스틱이 제거된 후에도 상당히 강하고 안정되게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 연구가 미세플라스틱만으로도 세균의 항균제 내성이 촉진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면서, 미세플라스틱 오염을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고 전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