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정에서 입상 여부를 가리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선수의 기량, 모터가 꼽힌다. 이 못지않게 중요한 요소가 바로 코스다.
지난해 코스별 승률 기록을 살펴보면 1코스(37.4%), 2코스(22.8%), 3코스(16.3%), 4코스(12.4%), 5코스(7.7%), 6코스(3.4%)로 인 코스에서의 승률이 60%를 넘는 초강세를 보였다. 올해 초반 분위기도 대체로 비슷하게 흘러가고 있다. 선수들이 인 코스를 배정받은 경주에서 승부수를 띄우는 경우가 많다.
거의 모든 정상급 강자는 인 코스를 배정받았을 때 입상에 성공하고 있다. 현재 10승을 거두며 다승 단독 선두를 달리고 있는 김완석(10기, A1)은 1~2코스 출전한 5번의 모든 경주에서 우승했고, 신인급 중에서 두드러진 활약을 펼치는 선수인 정세혁(15기, A2)도 총 4회의 인 코스 출전 경기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했다.
|
|
승률 10% 내외의 아웃 코스는 사실 그 어떤 선수라도 입상을 장담하기 쉽지 않은 코스.
전반적으로 선수들의 출발 감각이 좋아지고 있어 아웃 코스 선수들이 휘감기 전법을 사용해 입상하는 경우가 갈수록 드물게 나오고 있다. 찌르기 전법도 진로가 막힐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 결국 휘감아 찌르기(먼저 센터 코스의 선수를 휘감아 두고 다음으로 들어오는 인 코스 선수의 안쪽을 찌르는 전법)가 아웃 코스에서 그나마 입상 확률이 가장 높은 전법이다. 휘감아 찌르기를 성공하려면 일단 출발에서 뒤쳐지지 않아야 하고, 턴 마크에서 빠른 속력을 유지할 수 있는 선회 능력도 갖춰야 한다. 여기에 모터의 성능 또한 어느 정도 받쳐줘야 한다. 이런 조건을 모두 갖추지 않는 이상, 아웃 코스에서 입상에 성공하는 것은 분명 쉽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심상철(7기, A1), 김민준(13기, A1), 조성인(12기, A1) 같은 정상급 강자들이 대체로 아웃 코스 기록이 좋은 편. 특히 김민준은 지난해 5~6코스 모수 승률 30% 이상의 성적을 기록할 정도로 아웃 코스에 특화된 강자라 할 수 있다.
|
경정 전문가들은 "선수들 대부분이 자신의 경주방식에 맞는 주력 코스가 있고, 그 코스를 배정받은 경주라면 평소보다 강한 승리욕과 집중력을 발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선수들의 주력 코스를 미리 숙지한다면 경주 추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