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서울 양천구와 중구를 비롯, 대구 수성구 등 지방자치단체들이 '저장강박' 의심 가구의 주거환경 개선 및 치료 연계에 속속 나서고 있다.
저장강박의 원인은 전두엽의 기능 장애로, 의사결정 능력과 행동 계획 수립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치매, 뇌졸중 환자들에게서도 나타난다.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생활하는 저장강박은 질병은 물론 화재 위험을 야기할 뿐 아니라, 인간관계 단절로 인한 사회적 고립도 뒤따른다. 우울증이나 불안장애 등으로 옮겨갈 가능성도 늘어난다.
저장강박증의 치료방법으로는 인지행동치료와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를 사용해 신경을 안정시키는 약물치료가 대표적이다. 대뇌안쪽으로 사람 머리카락 두께의 전극을 삽입하고 전류를 통해 뇌세포의 활성을 조절하는 심부뇌자극술도 쓰인다. 다만, 치료 거부 케이스가 많아 지속적 개선이 어려운 경우가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