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83일 동안 불에 타는 듯한 고통 속에서 죽음을 맞은 남자'
이바라키현 도카이무라에 있는 우라늄 가공 공장 직원이었던 그는 1999년 9월 30일 동료 2명과 함께 16㎏의 우라늄을 금속 통에 혼합하는 작업을 했다.
당시 우라늄 양은 안전 한계치인 2.4㎏보다 약 6.7배 많은 수치였다.
당시 처리 용기 위에 서 있던 오우치는 1만 7000mSv(밀리시버트)의 방사선에 노출되었는데, 이는 한 번에 사람이 기록한 가장 많은 방사선 피폭선량이다.
방사선 노출 안전 기준은 연간 20mSv이며, 5000mSv는 치사량으로 간주된다.
다른 동료들은 각각 1만mSv, 3000mSv의 방사선에 노출됐다.
병원으로 옮겨진 이들은 지옥 같은 삶이 시작됐다.
특히 오우치는 치료를 받는 동안 피부가 떨어졌고 폐에 액체가 쌓이면서 호흡 문제를 겪었다. 또한 장 세포가 괴사하면서 극심한 위장 통증과 불편함을 겪었고 매일 3리터의 설사를 했다.
내부 장기들에서는 출혈이 이어졌고 하루에 최대 10번의 수혈을 받아야 했다.
피부 손실은 계속 악화돼 급기야 노출된 살을 통해 수 리터의 체액이 누출되었다.
의료진은 피부 이식과 줄기세포 이식 등 여러 가지 치료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강력한 진통제조차도 무용지물이었다.
특히 끔찍했던 것은 눈꺼풀이 떨어져 나가면서 눈에 극심한 통증이 생겼다.
당시 현지 보도에 따르면 그는 "너무 고통스럽다"며 의사들에게 치료를 중단해 달라고 간청했다.
그러던 중 그는 병원에 입원한 지 59일째 되던 날 심장이 멈췄다. 하지만 가족의 뜻에 따라 세 번 심폐소생술로 다시 깨어났다.
또다시 고통에 시달리던 그는 입원 83일째 되던 1999년 12월 21일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결국 세상을 떠났다.
몇 달 후인 2000년 4월 동료 중 한 명도 사망했다. 그나마 상대적으로 덜 피폭된 직원은 입원 3개월 만에 퇴원했다.
이 비극적인 사건 이후 일본은 물론 전 세계 원자력 에너지 산업의 운영 안전이 강화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