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해·자살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우리나라의 경우 자해·자살 사망률이 OECD 국가 중 최고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이 11일 발간한 '제14차 국가손상종합통계'에 따르면, 손상으로 인한 연령 표준화 사망률(인구 10만 명당)은 우리나라가 34.5명으로 OECD 평균 34.7명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자해·자살의 경우 인구 10만 명당 19.9명으로 OECD 평균인 11.7명에 비해 1.7배 높아 OECD 38개 국가 중 1위로 집계됐다.
이같은 상황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국내 자살 사망자는 1만3271명이다. 한 달에 1000명 이상 넘게 발생하는 셈이어서 연간 수치는 2023년의 1만3978명보다 많을 가능성이 크다. 국내 자살 사망자는 2021년 1만3352명에서 2022년 1만2906명으로 줄었다가, 2023년 들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정부는 자살 사망자 수를 줄이기 위해 자살 시도자와 자살 유족 등 고위험군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자살실태조사(2013년)와 심리부검 결과 보고서(2022년) 등에 따르면 자살 시도자의 자살률은 일반인 대비 약 25배, 자살 유족의 자살 생각률은 일반인 대비 약 10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와 지자체는 자살 시도자에 대한 사례 관리 서비스를 강화하는 한편, 서비스를 거부하거나 연락이 두절된 대상자도 수시로 확인해 관리하고 청년층 자살 시도자의 치료비 지원 대상도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보건복지부는 11일 박민수 제2차관이 전국 17개 시도 부단체장, 정신건강 담당자와 함께 자살예방사업 및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과 관련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지난해 12월 마련한 자살고위험군 집중지원방안을 지자체에 다시 한번 안내하고,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의 활성화를 독려했다. 자살 유족에 일시 주거, 청소, 행정·법률 처리 등을 지원하는 자살 유족 원스톱 지원서비스 대상 지역도 작년 9개 시도에서 올해엔 12개 시도로 확대할 방침이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