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관광을 넘어 대안관광이 주목을 받고 있다. 대안관광은 여러 형태가 있지만,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게 특징이다. 흔히 지역(로컬)관광을 떠올리면 이해가 쉽다. 지역 소도시 활성화를 통해 인구소멸 지역 위기를 극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 특산물을 한곳에서 만날 수 있고, 지역 주민의 정부터 손맛까지 느낄 수 있는 '시장'에는 활기가 넘친다. 시장은 지역 관광의 중심인 동시에 매력적인 콘텐츠다. 봄을 앞두고 활력 충전을 위한 시장 맛기행을 떠나보자. 한국관광공사가 추천하는 전국 오일장 중 많은 볼거리가 있는 곳을 엄선했다. 제대로 된 향토 음식을 즐길 수 있고, 지역색 강한 관광지까지 둘러볼 수 있는 곳이다.
|
북평민속시장은 끝자리가 3일과 8일인 날에 열리는 북평민속시장이다. 북평장은 1796년에 시작되었으며, 문화광장은 강원도에서 유명한 쇠전(우시장)이 열렸던 장소다. 쇠전은 꼭두새벽부터 열렸다. 소를 거래하기 위해 먼 거리를 온 사람들은 거래를 앞두고 막걸리 한 사발과 국밥 한 그릇으로 배를 채웠다. 우시장은 2008년 삼척시 미로면에 새롭게 개장하면서 사라졌지만, 그 흔적은 국밥 거리로 남았다. 북평민속시장 국밥집에서 가장 유명한 메뉴는 소머리국밥이다. 가까이에 쇠전과 도살장이 있어 고기를 팔고 남은 소머리나 내장 같은 부위를 구하기 쉬웠다. 소머리국밥의 맛은 식당마다 다르다.. 뽀얀 국물을 내는 식당이 있는가 하면 빨간 국물을 내는 식당도 있다. 각자 취향에 따라 식당을 고를 수 있다.
|
|
단양의 구경시장은 단양 8경에 더한 1경이라고 붙여진 이름이다. 시장 구경이라는 중의적 의미도 있다. 약 120개 매장이 모여 이뤄진 상설재래시장으로 단양전통시장이 전신이다. 요즘 들어서는 '먹방 여행'을 선호하는 젊은 여행객이 북적댄다. 구경시장의 인기를 주도하는 건 마늘이다. 단양은 석회지역의 약산성 토양과 산지마을의 큰 일교차로 육쪽마늘이 유명하다. 알이 단단하고 맛과 향이 특별한 한지형 토종 마늘이다. 단양구경시장은 마늘이 들어간 먹을거리로 시장 음식을 특화했다. 흑마늘닭강정을 필두로 마늘빵, 마늘순대, 마늘만두, 마늘갈비 등 시장의 간판마다 '마늘'이 접두어처럼 따라붙는다. 같은 마늘도 종류마다, 가게마다 달라 골라 먹는 재미가 있다. 큼지막하게 썰어내는 시식용 먹을거리도 시장의 인심을 더한다. 몇몇 가게는 주말에만 문을 열기도 한다.
|
|
옛 감성 물씬, 수구레국밥 '창녕전통시장'
경남 창녕군에 있는 창녕전통시장은 1900년대 보부상들이 집결하던 시장이었다.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장을 모아 지금 자리에 개설한 것이 1926년이라 하니 어느덧 백 년 역사를 자랑한다. 오일장이 크게 서는 3일과 8일에는 새벽부터 사람이 북적인다. 북적대는 사람들 사이로 이것저것 구경하다 보면 걸어도 걸어도 끝이 보이지 않는다.
창녕전통시장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수구레국밥이다. 수구레는 소 한 마리에 2kg 정도만 나오는 특수 부위다. 시장 주변에 수구레국밥집이 여럿 된다. 가게마다 뜨거운 김이 펄펄 나는 커다란 가마솥이 손님을 유혹한다. 뻘건 국물에 콩나물, 선지, 파 그리고 수구레가 가득 담겼다. 쫀득쫀득한 수구레는 씹으면 씹을수록 고소한 육즙이 입안에 가득 찬다. 창녕 사람들은 국수사리를 넣어 먹는 걸 즐긴다. 숟가락 놓을 때쯤이면 추위에 꽁꽁 얼었던 몸이 싹 녹는다.
창녕은 조선 시대에 현감을 두었던 큰 고을이었다. 특히 창녕전통시장 주변에 창녕향교, 석빙고, 신라 진흥왕 척경비, 술정리 동 삼층석탑 등 역사 유적이 몰려 있어서 문화유적답사를 겸해도 좋다. 영산면까지 동선을 늘린다면 아름다운 홍예다리(무지개처럼 만든 둥근 다리)인 창녕 영산 만년교를 만날 수 있다. 부곡온천에서 국내 온천 중 최고 수온인 78℃ 온천수에 몸을 담그는 일은 겨울 최고의 호사다.
|
광주 북구 우산동에는 말바우시장이 있다. 500여 개의 다양한 점포가 들어서 호남에서도 큰 규모를 자랑하는 시장이다. 식도락 여행을 온 사람들의 발길이 연중 끊이지 않다. 가장 인기 있는 메뉴는 팥죽이다. 말바우시장에서 팥을 전문으로 다루는 가게들은 모두 팥죽과 동지죽을 대표 메뉴로 내세운다. 팥죽에는 쫄깃한 면발의 칼국수가 들어 있고, 동지죽에는 몰캉몰캉한 새알심이 들어 있다. 팥죽을 주메뉴로 하는 가게들은 모두 맛과 정성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다. 팥죽을 먹으러 일부러 말바우시장까지 찾아오는 손님들을 생각해 매일 새벽 직접 팥을 씻어 불리고, 불린 팥을 솥에 넣어 팔팔 끓인다. 팥죽에 들어갈 새알심과 칼국수면은 손수 반죽한다. 한 끼에 5000원이면 대접 한가득 푸짐한 팥죽을 맛볼 수 있다니 요즘 세상에 흔하지 않은 인심이다.
|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