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영하 10도 안팎의 강추위가 이어지면서 근육 건강에도 부담이 커지고 있다.
강남베드로병원 정형외과 박상은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근막통증증후군은 뻐근한 느낌을 주는 경부 통증의 주 원인 중 하나"라며 "특히 갑작스럽게 기온이 낮아지게 되면 상대적으로 외부에 노출되기 쉬운 경부 근육의 긴장도가 높아지며 통증이 발생하기 쉬워진다"고 전했다.
◇뒷목, 어깨, 허리 등에 주로 발생…누르면 아픈 근막 '통증 유발점'이 원인
이를 유발하는 원인은 말 그대로 '근막의 통증 발생'이다. 근육에 갑작스러운 스트레스가 가해지거나 과도한 긴장으로 근육이 경직되면 근육을 둘러싼 얇은 '근막'에 활동성 유발점(trigger point)이라고도 불리는 통증 유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 통증유발점은 흔히 '뭉쳤다'고 표현되는 부위로, 팽팽한 띠나 단단한 결절처럼 만져지며 근육이 정상적으로 늘어나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해한다. 해당 부위를 누르거나 움직이면 극심한 압통이 나타나게 되며, 심한 경우 땀이 나거나 털이 곧추서는 등의 자율 신경 증상도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스트레스나 추위, 장기간의 긴장 상태 등은 근막통증증후군을 유발하는 다양한 원인이다. 바이러스 감염이나 과도한 근육 사용 등 역시 근막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통증 심하면 온열치료 및 물리 치료…가벼운 증상은 스트레칭으로 완화 가능
일단 증상이 발생하면 보통 통증 탓에 해당 부위를 사용하지 않거나 움직이지 않으려는 경우가 많다. 소염진통제를 복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러나 이는 근본적인 치료가 되기는 어렵다.
박상은 원장은 "이러한 방법들은 일시적인 대증치료로, 통증 완화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근육과 근막의 긴장 상태를 해소하는데 한계가 있다"며 "불편감과 극심한 통증 등이 이어진다면 전문의를 찾아 진료를 받는 것을 권장한다"고 설명했다. 근막통증증후군의 치료법으로는 주로 온열치료 및 초음파 등 물리치료가 주로 활용되며, 심한 경우 도수치료나 통증유발점 주사 치료도 진행한다.
가벼운 증상이라면 근육 스트레칭을 먼저 시도해보는 것도 방법이다. 스트레칭을 하는 경우 해당 근육 부위를 늘려주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 일회성에 그치기보다는, 통증이 완화될 때까지 하루 3회 이상 꾸준히 해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꾸준한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의 유연성을 유지해주는 것이 좋다. 박상은 원장은 "매일 주요 근육 부위를 중심으로 스트레칭과 체조 등을 하는 습관을 들이면 근막통증증후군을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