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유출 우려 '딥시크' 차단 러시…제약·바이오 업체들도 동참

김소형 기자

기사입력 2025-02-06 17:57 | 최종수정 2025-02-06 18:01


정보 유출 우려가 불거진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 차단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당국의 접속 제한에 제약·바이오 업체들도 동참하고 있다.

외교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부처가 대거 딥시크 차단에 나서면서, 보건복지부도 6일 내부 공지를 통해 딥시크에 대해 정보보안 등 안전성이 확인될 때까지 접속을 막는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앞서 '과도한 사용자 정보 입력 금지, 비공개 업무자료 입력 금지' 등의 생성형 AI 관련 보안 주의사항을 안내했다가 추가 검토를 거쳐 차단을 결정했다. 산하기관에도 접속 차단을 안내한 상황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생성형 AI를 업무에 활용할 경우 행정안전부 지침에 따른 보안 업무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전했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보건복지부 발표에 입각해 이날부터 임직원 업무 PC에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기로 했다. 유한양행은 보안상 이유 등으로 딥시크나 챗GPT 등 생성형 AI를 사내에서 사용하지 않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정보 보안 유출 위험성 등을 고려해 이미 지난해부터 챗GPT 등 AI 관련 사이트를 차단 중이며 중국 딥시크도 출시 후 즉시 차단했다. 셀트리온은 AI 사용 방침과 관련해 사내 가이드라인을 마련 중이다.

카카오헬스케어도 AI 사내 활용 정책에 따라 딥시크를 사내 업무 목적으로 사용을 지양한다고 안내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