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민족 대명절 설이 다가오고 있다. 오랜만에 모인 가족과 나누는 명절 음식은 그 자체로 즐거움이지만, 과식과 기름진 음식 섭취로 인해 소화기질환을 겪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시기이기도 하다. 건강한 설 명절을 위해 최영희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의 도움말로 소화기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 습관과 예방법을 정리했다.
명절에 흔히 나타나는 소화기질환에는 소화불량, 역류성 식도염, 위장관염 등이 있다. 소화불량은 명절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증상 중 하나로 복부 팽만감, 속 쓰림, 상복부 통증, 식후 포만감 등이 대표적이다. 과식과 기름진 음식 섭취가 주된 원인이다. 잦은 간식과 불규칙한 식사도 소화불량을 악화시킬 수 있다.
역류성 식도염은 밤늦게 또는 과도한 음식 섭취 등으로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속 쓰림, 가슴 통증, 신물 역류 등이 주요 증상이다. 식사 후 바로 눕는 습관은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또 명절 음식의 대량 조리와 상온 보관으로 위장관염 환자도 급증하는데 구토와 설사, 복통이 주된 증상으로 나타난다.
식사 후 바로 눕는 습관은 위산 역류와 복부 불편감을 유발할 수 있어 꼭 피해야 한다. 식후 과도한 운동은 오히려 소화를 방해하지만, 가벼운 산책이나 일상 활동은 소화 촉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명절에는 지루함에 간식을 찾는 경우가 많다. 밤늦게 간식 섭취는 자제하고 물이나 따뜻한 차로 대체하는 것이 좋다.
음식 위생 관리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명절 음식은 대량으로 준비하고 보관하기 때문에 상하기 쉽다. 음식은 적정 온도에서 보관하고, 섭취 전 충분히 가열해야 하며, 조리 도구와 손을 깨끗이 씻는 등 기본적인 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과일 섭취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디저트로 과일을 즐기는 경우가 많지만, 과도한 섭취는 혈당을 높일 수 있다.
최영희 교수는 "설 명절은 가족과 함께 따뜻한 시간을 보내는 소중한 기회지만, 소화기 건강을 돌보지 않으면 즐거운 시간이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며 "적정량의 음식 섭취, 규칙적인 식사와 위생 관리, 간단한 운동을 통해 건강한 명절을 보내고 새해를 활기차게 맞이하자"고 당부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