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을 앞세운 K-뷰티가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 규모(잠정)가 전년 대비 20.6% 증가한 102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종전 최대 수출액인 2021년 92억 달러를 뛰어넘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내 화장품의 해외 진출을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추진하고 있는데, 특히 자외선차단제에 대한 지원이 대표적이다. 미국에서는 자외선차단제를 일반의약품으로 관리하고 있어 국내 화장품 업계를 대상으로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세미나 등을 지원했다. 올해도 국내 자외선차단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맞춤형 1:1 컨설팅 및 GMP 전문가 양성 집중 교육도 함께 실시해 미국 시장 진출을 지속적으로 도울 방침이다.
식약처에 따르면, 2023년에 이어 2024년에도 자외선차단제 심사가 단일 기능성 제품 중 약 46.9%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염모제 심사 건수는 2023년 52건에서 2024년 166건으로 대폭 증가했다.
2024년 기능성 화장품 심사는 전체 964건(제조 760건, 수입 204건)으로 2023년(944건) 대비 20건(2.1%) 증가했으며, 자외선차단제(321건), 염모제(166건), 삼중기능성(미백·주름·자외선차단)(158건), 탈모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72건) 순이었다.
피부장벽의 기능을 회복해 가려움 등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도 꾸준히 개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형 별로는, 액상, 로션, 크림 외에도 하이드로겔, 쿠션, 이층상(다층상·한 제품에 유상이나 수상 성분 등이 함께 있어 2개 이상으로 층이 분리된 제형) 등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었다.
2024년 기능성 화장품 중 신규 주성분은 피부주름을 완화 또는 개선하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 탈모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 여드름성 피부를 완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화장품, 염모제 등이었다.
식약처는 기능성 화장품 심사 통계가 제품 개발 및 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정기적으로 기능성 화장품 심사 현황을 분석하여 발표할 계획이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