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중앙대학교광명병원이 방사선 제로 펄스장 절제술(Pulsed field ablation, PFA)을 성공했다고 밝혔다. 국내 최초로 시행된 것이라 더욱 의미가 깊다.
반면 펄스장 절제술은 비열 고전압 전기장을 이용하기 때문에 온도변화가 거의 없다. 따라서 목표하는 비정상 심장 세포만을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10분의 1초 이내의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수백번의 반복적인 고전압 전기 펄스를 주는 방식이기에 시술 시간도 짧아졌다.
중앙대광명병원의 펄스장 절제술 성공은 국내 최초로 '방사선 제로'로 이뤄진 것이라 더 큰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한 번의 심방세동 시술 시 환자에게 노출되는 방사선 조사량은 약 15mSv(밀리버트)로, 일년동안 노출되는 자연 방사선량(2.4mSv)의 7배에 해당한다. 대규모 임상연구에 따르면 펄스장 절제술은 기존 치료 방식보다 방사선 노출량이 더 많은 단점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가하고 심각한 시술 부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어 점차 심방세동 시술의 대세로 자리잡고 있는 상황이다.
방사선 제로 부정맥 시술의 대가인 임홍의 교수는 올해 1월부터 중앙대학교광명병원에서 치료를 이어가고 있다. 이전에는 방사선 노출이 불가피했던 기존 부정맥 치료(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 냉각풍선 도자 절제술)에서도 심장 내 초음파를 활용한 방사선 제로 부정맥 시술을 적용하여 현재까지 1800례 이상 시행하고 있다. 국내 유일의 심장 내 초음파 프록터(시술법 전파 및 관리, 감독하는 공인 지도 전문가) 자격을 보유하고 있기도 하다.
임홍의 교수는 "펄스장 절제술의 확산과 더불어, 방사선 제로 시술 역시 표준치료가 되어야 한다"며 "우리의 목표는 더 많은 환자들이 안전한 시술을 받는 것"이라고 말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