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영상의학과 천세원 전공의가 최근 열린 제79차 대한영상의학회 학술대회(Korean Congress of Radiology, KCR 2023)에서 전공의 부문 최우수 초록상(Best Abstract Award for Resident)을 수상했다.
관상동맥 석회화는 관상동맥에 칼슘이 침착돼 혈관이 굳어지는 현상으로, 이를 수치화한 석회화 점수는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데 기준이 된다. 그동안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는 심전도 검사를 마친 후 그 결과치를 계산해 심전도 동기화 심장 CT를 찍어 측정했다. 그러나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통해 저선량 흉부 CT의 커널 및 단면 두께 변화를 이용하여 저선량 흉부 CT에서도 정확한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 평가가 가능함을 확인했다.
천세원 전공의는 "검진에서 흔히 사용하는 저선량 흉부 CT에서 자동화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를 측정하면, 기존 방법보다 방사선량 노출을 줄일 수 있고, 절차도 간소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영상의학과의 연구역량과 교육역량을 널리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됐다" 며 "추가 연구를 통해 저선량 흉부 CT에서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를 더 편리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