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면서 어린이들 사이 '급성 기관지염' 유행이 우려된다.
소아의 급성기관지염은 50~75%가 바이러스 감염이며, 2세 이하의 영유아들에게는 가장 큰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급성 기관지염의 대표적인 증상은 기침이다.
한번 발병하면 심한 기침을 동반하며 숨을 가쁘게 몰아쉬고 쌕쌕거린다. 간혹 폐렴을 의심할 정도로 기침이 심해서 입원을 하는 경우도 있다. 소아들의 경우 기침 때문에 제대로 영양섭취를 하지 못해 탈수나 심각한 영양불균형 상황에 놓이기도 한다.
증상이 심해지면 호흡이 더 가빠지고 심장 박동도 급격히 증가한다. 바이러스성 급성기관지염의 경우에는 심한 기침을 하다가 토하는 경우도 있다.
소아의 급성기관지염은 항생제 처방을 하지 않는 대신 연무식 흡입기(네뷸라이저)를 통해 약제를 투여하는 흡입치료가 활용된다.
치료 도중 가래가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등을 두드려 가래를 뱉어 내고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해주는 것이 좋다.
실내 온도와 습도를 적절히 유지해 주는 것도 치료에 도움이 된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콧물 약, 기관지 확장제, 기침약 등을 처방한다.
대동병원 소아청소년과 송익진 과장은 "어릴 때 발생한 급성 기관지염을 초기에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을 경우 모세기관지염으로 이어져 심한 경우 폐렴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초기에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며 "아이가 처음에는 감기 증상을 보이다가 갑자기 고열과 함께 보챔이 심하고 기침 및 호흡수가 매분 60회 이상 등 이상 증상을 보인다면 빠르게 병원에 내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급성기관지염을 치료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아이의 생활환경을 깨끗하고 쾌적하게 해줄 필요가 있다"며 "특히 부모가 흡연을 하거나 지나치게 건조한 환경에서는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으니 같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급성기관지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아이가 감기 증상이 있을 때 빨리 치료를 해야 한다.
또한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들은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을 피하는 것이 좋다. ▲적절한 온도 및 습도 유지 ▲수분 섭취 ▲손 위생 ▲구강위생 ▲충분한 수면 ▲균형 잡힌 식습관 ▲예방접종 ▲호흡기 질환자 접촉 삼가 등도 도움이 된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