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소변이 누출되는 요실금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지만 삶의 질 저하와 밀접하다.
절박성 요실금은 소변이 마려워 화장실로 가던 도중에 소변이 그냥 나와 버리는 것을 말한다.
즉, 정상적인 경우라면 요의를 느끼고 화장실에 가서 속옷을 내릴 때까지 소변을 참을 수 있다. 절박성 요실금 환자들은 그것이 불가능 한 것이다. 복합성 요실금은 복압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이 합쳐진 형태다.
여성의 경우 출산을 했다면 요실금에 걸릴 확률이 더 높아진다. 또한 비만일 경우 출산 유무와 관계없이 마른 여성에 비해 요실금 발생 위험이 2배로 증가한다.
여성호르몬의 감소도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여성호르몬은 요도 주변 조직을 튼튼하게 해 소변 참는 힘을 강하게 한다. 그러나 완경기 여성들의 경우 여성호르몬이 감소되어 소변을 참는 힘이 약해진다.
요실금 진단은 문진을 통한 병력청취가 우선적으로 시행된다. 이후 신경 검사, 요실금 유발 검사, 골반 근육 검사, 소변 검사, 요속검사, 초음파검사, MRI 검사 등을 추가적으로 시행한다.
가벼운 증상이라면 항콜린제와 알파아드레날린 작용제 등을 이용한 약물치료를 시행해 볼 수 있다.
아울러 '케겔(Kegel) 운동'이라고 알려진 골반근육 운동을 병행한다.
하지만 요실금은 약물 치료보다는 수술로 더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최근 가장 활발하게 시행되고 있는 수술은 TVT 수술과 TOT 수술이다. 이 수술들은 요실금 치료용으로 개발된 테이프를 이용해 요도를 지지해 주는 수술이다. 재채기 등 복부에 압력이 상승할 때 소변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한다. 다만, TVT는 수술 시 방광천공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TVT 수술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개발된 수술이 TOT 수술이다.
강남베드로병원 산부인과 김원중 원장은 "요실금은 약물과 수술법의 발달로 치료 성공률이 높은 질환"이라며 "정확한 진단 하에 적합한 치료를 한다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당부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