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암 가족력이 있으면 대장암 발병률도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존 서구 연구에서는 약 10%의 전립선암이 유전 성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됐으며, 김명·변석수 교수 연구팀의 이전 연구에서 한국인의 가족성 전립선암 유병률이 8.4%인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전립선암 환자에서 다른 장기로 전이된 이차암의 종류 및 빈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전립선암 환자에서 이차암이 발병된 환자는 1102명 중 132명으로 12%에 달했다.
이번 연구에서 주목할 점은 유전성 전립선암 환자에서 대장암이 발병할 위험성이 비유전성 전립선암 환자보다 2.9배나 높았다는 사실이다. 다만 다른 이차암들은 유전성 전립선암과 비유전성 전립선암 환자 간에 발병률의 차이가 없었다.
김명 이대서울병원 교수는 "유전성 전립선암 환자에서 대장암의 발병 위험성이 같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는 전립선암과 대장암의 발병에 유사한 유전학적 기전이 관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변석수 분당서울대병원 교수는 "전립선암의 가족력이 있는 유전성 전립선암 환자는 이차암의 조기 발견을 위한 정기적 건강 검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 학술지인 '비뇨기암(Urologic Oncology' 최신호에 발표했다.
한편 전립선암은 최근 들어 인구 고령화와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해 발생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조기에 발견하면 90% 이상 완치가 가능하지만 초기에는 증상이 없어 암이 진행된 후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기적인 검진과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