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층의 가상화폐·주식 투자 열풍이 이어지면서,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30대 이하 청년층의 다중채무액이 약 5년 전과 비교해 30%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다중채무액을 살펴보면 30대 이하 청년층이 32.9%(39조2000억원) 증가한 158조1000억원이었다. 40∼50대 중년층은 16.2%(51조2000억원) 늘어난 368조2000억원, 60대 이상 노년층은 32.8%(18조원) 증가한 72조6000억원이었다. 전체 다중채무액에서 중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61.5%로 가장 높지만 증가 속도는 청년층과 노년층이 중년층의 두 배 이상 빨랐던 것으로 분석된다.
다중채무자 1인당 금융권 채무액은 2017년 말 1억1800만원에서 1억3300만원으로 12.8%(1500만원) 증가했다. 청년층은 1억1400만원으로 29.4% 늘어났으며 중년층도 1억4300만원으로 10.4% 증가했다. 노년층은 10.3% 감소한 1억3000만원으로 조사됐다.
저축은행권에서의 청년층 다중채무자 수는 10.6% 증가한 50만3000명, 채무액은 71.1% 늘어난 11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노년층은 96.6% 증가한 9만5000명, 78.1% 늘어난 2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한국금융연구원 관계자는 "고금리 다중채무는 상환 부담을 높여 소비 여력을 위축시키고, 감내 수준을 넘어서면 부실로 연결될 수 있다"며 "부실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채무자는 과도하게 자산시장에 유입된 채무자금을 조정하고, 금융기관은 대손충당금 적립 등을 통해 손실흡수 능력을 확충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