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공급망 실사 의무화 법안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수출기업의 절반 이상이 공급망 내 ESG 경영 미흡으로 원청기업으로부터 계약·수주 파기 위기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청기업이 ESG 실사를 할 경우 이에 대한 대비도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ESG 실사 대비 수준을 묻는 항목에 '낮다'는 응답이 77.2%(매우 낮음 41.3%·다소 낮음 35.9%)였다. '높다'는 22.8%(매우 높음 1.2%·다소 높음 21.6%)에 그쳤다.
원청업체가 공급망 내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ESG 실사, 진단·평가, 컨설팅 경험 유무'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10% 안팎에 그쳤다.
한편 ESG 실사를 위해 집행 가능한 예산 범위에 대해선 50만원 미만'(29.9%), '200만원 이상'(29.2%), '50만∼100만원 미만(26.3%) 등의 순으로 답했다.
공급망 ESG 실사 관련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내부 전문인력 부족'(48.1%)을 꼽은 기업들이 가장 많았다. '진단 및 컨설팅·교육 비용부담'(22.3%), '공급망 ESG 실사 정보 부족'(12.3%)이 그 뒤를 이었다.
이미선 기자 already@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