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국내 수출기업 52% "ESG 경영 미흡에 계약 파기 위기감"

이미선 기자

기사입력 2022-07-18 08:55 | 최종수정 2022-07-18 09:09


유럽연합(EU)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공급망 실사 의무화 법안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수출기업의 절반 이상이 공급망 내 ESG 경영 미흡으로 원청기업으로부터 계약·수주 파기 위기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수출기업의 공급망 ESG 실사 대응 현황과 과제' 보고서를 발표했다.

대한상의가 지난달 20~30일 국내 수출기업 300곳(대기업 84곳, 중견기업 81곳, 중소기업 135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52.2%가 ESG 미흡으로 향후 고객사(원청기업)로부터의 계약·수주가 파기될 가능성이 높다고 답했다.

원청기업이 ESG 실사를 할 경우 이에 대한 대비도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ESG 실사 대비 수준을 묻는 항목에 '낮다'는 응답이 77.2%(매우 낮음 41.3%·다소 낮음 35.9%)였다. '높다'는 22.8%(매우 높음 1.2%·다소 높음 21.6%)에 그쳤다.

실사 단계별 대응 수준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8.1%가 '대응체계 없음'이라고 답했다. '사전준비 단계'라는 응답은 27.5%였다.

원청업체가 공급망 내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ESG 실사, 진단·평가, 컨설팅 경험 유무'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10% 안팎에 그쳤다.

한편 ESG 실사를 위해 집행 가능한 예산 범위에 대해선 50만원 미만'(29.9%), '200만원 이상'(29.2%), '50만∼100만원 미만(26.3%) 등의 순으로 답했다.


공급망 ESG 실사 관련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내부 전문인력 부족'(48.1%)을 꼽은 기업들이 가장 많았다. '진단 및 컨설팅·교육 비용부담'(22.3%), '공급망 ESG 실사 정보 부족'(12.3%)이 그 뒤를 이었다.


이미선 기자 already@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