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혈병과 같은 중증혈액질환(혈액암)으로 동종조혈모세포이식 치료를 받은 환자는 건강한 사람에 비해 고형장기에 이차성 고형암이 발병할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조혈모세포이식이란 백혈병, 악성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등 혈액종양 환자에게 고용량 항암 화학 요법 혹은 전신 방사선 조사를 통해 환자의 암세포를 제거한 뒤건강한 조혈모세포를 이식해줌으로써 혈액암을 사멸시키는 가장 상용화된 세포치료법이다. 특히,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은 혈액암에서 완치적 치료방법으로 활용되고 있고, 이후의 합병증을 조절하는 것이 성공적인 조혈모세포이식 결과를 확보하기 위한 핵심이다.
가톨릭혈액병원은 환자의 동종조혈모세포이식 후 발생할 수 있는 감염, 이식편대숙주반응 등 환자의 합병증을 진료현장에서 세심히 관리한다. 또한 이식 후 면역이 약해진 환자를 보호하기 위해 환자와 보호자에게 생활 관리 교육까지 진행한다. 하지만 다른 고형장기에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암 질환을 혈액병원 진료로만 예방하고 진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혈액병원 병원장 김희제 교수(혈액내과)는 "혈액암을 치료하기 위한 조혈모세포이식치료, CAR-T를 포함한 세포면역치료는 예기치 않은 전신적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어 이에 대한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기 때문에 혈액질환의 악화에 국한한 관리뿐 아닌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다학제 진료 시스템이 필수이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정식 게재에 앞서 5월 온라인에 실렸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 당신은 모르는 그 사람이 숨기고 있는 비밀